계무자季武子(춘추좌전.9.19.3.)

 


계무자季武子가 진나라로 가서 출병에 감사를 표했고, 진 평공은 그에게 향례를 베풀었다. 범선자가 집정으로서 「서묘黍苗(『시·소아』)를 노래했다. 계무자가 자리에서 일어나 재배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말하였다. “소국이 대국을 우러러봄은 마치 백곡이 단비를 고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늘 단비가 내린다면 천하가 모두 화목해지니 어찌 폐읍만 그 혜택을 입겠습니까?” 그는 「유월」(『시·소아』)로 화답하였다.


원문 (9.19.3.)

季武子拜師, 晉侯享之. 范宣子爲政黍苗. 季武子再拜稽首, : 小國之仰大國也如百穀之仰膏雨焉. 若常膏之其天下輯睦豈唯敝邑?六月


주석

季武子拜師: 두예: “제나라를 토벌한 일에 감사를 표했다.” 그리고 “곽수를 경계로 하여 주나라 땅을 떼어준 것”에 대해 사례했다고도 말한다.

晉侯享之. 范宣子爲政: 중군의 보좌였지만 중군의 장수로 승진했다.

黍苗: 『시·소아』의 편명이다. 처음에 “무성한 기장의 싹(芃芃黍苗) 장맛비가 적셔 주네.”라는 두 구절이 있다.

季武子: 자리에서 일어나다.

再拜稽首, : 小國之仰大國也如百穀之仰膏雨焉. 若常膏之: 윤택하게 하다. 고우膏雨 고는 형용사인데 여기서는 동사로 쓰였다.

其天下輯睦: .

豈唯敝邑?: 어찌 우리나라만 이 혜택을 받으리오까?

六月: 『시·소아』의 편명. 윤길보가 주 선왕을 보좌하여 정벌에 나섰을 때의 시. 진후를 윤길보에 비유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