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나라의 위급을 전하는 숙손표 (춘추좌전.9.16.5.)
노나라의 위급을 전하는 숙손표 겨울 , 목숙 ( 숙손표 ) 이 진나라로 가서 빙문하고 , 또 제나라 문제를 언급했다 . 진나라 측에서 말했다 . “과군께서 아직 부친의 체제사를 거행하지 못했고 백성이 휴식을 취하지 못했습니다 . 그렇지 않다면 어찌 노나라의 상황을 잊고 있겠습니까 ? ” 목숙이 말했다 . “제나라가 조석으로 폐읍의 땅에 분풀이하므로 이처럼 간청드립니다 . 폐읍이 위급하여 아침에 저녁을 기약하지 못할 정도입니다 . 목을 길게 빼고 서쪽을 바라보며 말합니다 . ‘진나라가 올 것이다 ! ’ 집사께서 한가해질 때를 기다리다 시기를 놓칠까 두렵습니다 . ” 목숙은 중항헌자 中行獻子 를 접견하고 「기보 」 ( 『시·소아』 ) 를 읊었다 . 헌자가 말했다 . “저 , 언 偃 도 잘못을 알고 있습니다 . 감히 집사와 함께 노나라의 사직을 걱정하지 않고 노나라로 하여금 그 지경에 이르게 하겠습니까 ! ” 목숙은 범선자 ( 사개 ) 를 접견하고 「홍안 」 ( 『시·소아』 ) 의 마지막 장을 읊었다 . 선자가 대답했다 . “개 丐 가 건재한 데 어찌 노나라를 평안케 하지 않겠습니까 ? ” 원문 (9.16.5.) 冬 , 穆叔 如 晉 聘 , 且言 齊 故 . 晉 人曰 : “ 以寡君之未 禘 祀 , 與民之未息 , 不然 , 不敢忘 . ” 穆叔 曰 : “ 以 齊 人之朝夕釋憾於敝邑之地 , 是以大請 . 敝邑之急 , 朝不及夕 , 引領西望曰 : ‘ 庶幾乎 ! ’ 比執事之間 , 恐無及也 . ” 見 中行獻子 , 賦 「 圻父 」 . 獻子 曰 : “ 偃 知罪矣 , 敢不從執事以同恤社稷 , 而使 魯 及此 ! ” 見 范宣子 , 賦 「 鴻鴈 」 之卒章 . 宣子 曰 : “ 丐 在此 , 敢使 魯 無鳩乎 ! ” 주석 ▣ 冬 , 穆叔 如 晉 聘 , 且言 齊 故 : 제나라가 다시 노나라를 쳐들어올 것이기 때문이다 . ▣ 晉 人曰 : “ 以寡君之未 禘 祀 : 체 제사는 진 도공의 신주를 대묘에 들이는 길제이다 . 상세한 내용은 『좌전·민공 2 년』과 『좌전·희공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