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문자孫文子 (춘추좌전.8.14.5.)


위 정공이 병환에 들자 공성자孔成子와 영혜자惠子에게 경사敬姒의 아들 간을 태자로 옹립하게 했다

겨울 10, 위 정공이 타계했다. 부인 강씨가 곡을 마치고 휴식을 취할 때 태자가 애도하지 않는 모습을 보고 음식과 물도 마시지 않고 탄식했다. “이 자가 위나라를 망칠 것인데, 필경 화는 미망인한테서 시작될 것이다. 오호! 하늘이 위나라에 재앙을 내리시는구나이 사직을 주재하게 했어야 했도다.” 대부들이 이 말을 듣고 두려워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손문자는 이때부터 자신의 보물을 국도에 두지 않고 모두 척읍에 두었고 진나라 대부들과 더욱 친밀하게 지냈다.


원문

(성공좌전.14.05.衛侯有疾使孔成子·惠子敬姒之子以爲大子. 冬十月衛定公. 夫人姜氏旣哭而息見大子之不哀也不內酌飮歎曰: 是夫也將不唯衛國之敗其必始於未亡人. 烏呼! 天禍衛國也夫! 吾不獲也使主社稷.大夫聞之無不聳懼. 孫文子自是不敢舍其重器於盡寘諸而甚善大夫.


주석

衛侯有疾使孔成子·惠子敬姒之子以爲大子: 공성자孔成子는 공달孔達 아들 공증서孔烝鉏이다. 경사는 다음의 “부인 강씨”로 미루어보면 위 정공의 첩이다. 음은 간이다. 위 헌공이다.

冬十月衛定公. 夫人姜氏旣哭而息見大子之不哀也不內酌飮: 는 납, 은 작 같다. 작음은 곧 『좌전·정공4년』의 “勺飮不入口”에의 “작음”과 같다. 양수달 선생의 『독좌전』에 그 설명이 있다. 『예기·상대기』에 따르면, 사자의 빈소가 차려지면 부인, 며느리, 여러 첩들은 거친 음식疏食 물을 마신다. 작음은 이 소식疏食 수음水飮 말한다.

歎曰: 是夫也將不唯衛國之敗其必始於未亡人: 고대 과부는 미망인이라고 자칭했다. 『좌전·장공28년』의 주석을 참조.

烏呼! 天禍衛國也夫! 吾不獲也使主社稷.: 의 음은 전이다. 『좌전·양공14년』의 기사에 따르면, 전은 간의 친아우이다.

大夫聞之無不聳懼: 가차했다. 『설문』은 “송은 두려워함이다(, 懼也).”라고 풀이한다.

孫文子自是不敢舍其重器於: 중기는 보배로운 기이다.

盡寘諸: 본래 손씨의 채읍이었지만 손림보가 진나라로 망명했을 때, 진이 위나라에 그 땅을 돌려 주었었다. 손림보가 다시 돌아와 복권하자 위나라 군주가 그에게 돌려주었다.

而甚善大夫: 『좌전·양공14년』에 뒷일이 기록되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