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21의 게시물 표시

(B.C.705년) 2.7.1. 곡나라 등나라

이미지
본문 환공 7 년 봄 , 곡나라 군주와 등나라 군주가 우리나라를 예방했다 . 『춘추』에 이름을 쓴 까닭은 그들을 천시한 것이다 . 2.7.1.  七年春 , 穀 伯 · 鄧 侯 來朝 . 名 , 賤之也 . 해설 곡 穀 은 국명이다 . 곽말약의 『은계수편 殷契粹篇 』의 복사의 “ 王氏 □”에 대해 당란과 우성오는 모두 이 글자를 “곡 穀 ”으로 보고 있다 . 자세한 것은 우성오의 『쌍검치은계변지삼편 雙劍 誃殷契駢枝三篇 』에 보인다 . 그들은 곡나라를 은상 시대부터 존재해 온 나라로 생각하고 있다 . 공영달은 “곡나라는 어떤 성 姓 인지 알 수 없다”고 했고 , 『통지·씨족략』에선 영성 嬴姓 이라고 주장한다 . 그 옛성은 호북성 곡성현 穀城縣 의 서북쪽이다 . 춘추좌전 지도 - 곡나라, 등나라 등 鄧 은 만성 曼姓 의 국가로서 장공 16 년에 초나라 문왕에게 멸망되었다 . 옛성은 하남성 등현 鄧縣 혹은 양번시 襄樊市 북쪽의 등성 鄧城 이라고도 주장한다 . 옛 이기로서 현재 알 수 있는 것은 등공기 鄧公旣 ·등백희궤 鄧伯姬簋 ·등공자기 鄧公子旣 등이 있다 . 이들 이기에선 “등 鄧 ”자를 모두 “□” 혹은 “□”등의 형태로 쓴다 . 두예 : “예방을 총칭해서 한 번 쓰지 않고 두 번 쓴 까닭은 따로 예방을 했기 때문이다 . ” 은공 11 년의 “등후와 설후가 예방을 왔다 ( 滕侯 · 薛侯 來朝 ) ”라는 상황과는 다른데 , 등후와 설후는 동시에 내조하여 서로 선후를 다투었고 , 이번은 각각 따로이 예방을 온 것이기 때문에 각각 나누어서 기록했다 . 이 해엔 가을과 겨울에 계절의 이름도 달의 이름도 기록이 없다 . 이에 대해선 환공 4 년의 『춘추』 주석을 참조하라 . ▣ 七年春 , 穀伯 · 鄧侯 來朝 : 『춘추』는 “여름 夏 ”으로 쓰고 , 『좌전』에선 “춘 春 ”이라고 쓴 까닭에 대해 두예는 “봄에 와서 여름에야 예방을 거행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 조익 趙翼 은 『해여총고 陔餘叢考 』에서 이들 두 나라는 주나라 달력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처럼

2.6.7. 기紀나라

이미지
본문 겨울 , 기 紀 나라 군주가 와서 예방하고 , 왕명으로 제나라와의 강화를 중재해 달라고 요청했다 . 환공은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 2.6.7.   冬 , 紀侯 來朝 , 請王命以求成于 齊 . 公告不能 . 해설 ▣ 冬 , 紀侯 來朝 , 請王命以求成于 齊 . 公告不能 : 여름 4 월에 기나라 군주가 노나라에 와서 제나라로 인한 어려운 문제를 고민했고 , 겨울 다시 예방을 와서 환공이 기나라 대신 왕명을 받아 제나라와 화해할 수 있도록 노나라에게 요청했지만 환공은 할 수 없다고 전했다 . 이에 기나라는 왕후를 들여보내 자국의 안전을 도모하려 했지만 끝내 제나라에게 멸망됨을 피할 수는 없었다 .  춘추좌전 지도 - 기紀나라

작명법 - 장공의 출생

본문 9 월 정묘일 (24 일 ), 자동 子同 이 태어났다 . 태자가 출생한 예를 거행했다 . 대뢰 大牢 를 갖춰 아들을 초견하고 , 점을 쳐 길한 사 士 를 선택하여 업게 했으며 , 그 사의 처가 젖을 먹이고 , 환공과 문강 그리고 종부 宗婦 들이 함께 아들의 이름을 지었다 . 환공이 신수 申 繻 에게 이름짓는 법을 물었다 . 그가 대답하였다 . “이름을 지을 때 다섯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신 信 · 의 義 · 상 象 · 가 假 · 류 類 가 그것입니다 . 출생 시의 특징으로 이름을 짓는 것을 신 信 이라 하고 , 덕 德 있는 명칭으로 이름을 짓는 것을 의 義 라 하며 , 유사한 것을 취하여 이름 짓는 것은 상 象 이라 하고 , 사물에서 이름을 취하는 것을 가 假 라 하며 , 부모와 유사점을 취하여 이름을 짓는 것을 류 類 라 합니다 . 또 나라 이름 , 관명 , 산과 하천의 이름 , 질병을 일컫는 말 , 희생에 쓰이는 가축의 이름 그리고 제사에 올리는 기물을 가리키는 말로는 이름을 짓지 않는 법입니다 . 주나라 사람들은 이름을 피하여 신령을 섬기니 , 사후에는 이름을 부르지 않습니다 . 그러므로 만약 국명으로 이름을 지으면 사후에 국명을 폐해야 하고 , 관명으로 이름을 지으면 사후에 관명을 폐해야 하며 , 산천으로 이름을 삼으면 산천의 이름을 폐해야 하고 , 희생의 이름으로 이름을 지으면 사후에 그 제사를 폐해야 하며 , 기물로 이름을 지으면 사후에 예를 폐해야 하는 어려움이 생깁니다 . 예를 들어 진 晉 나라는 희공의 이름 때문에 ‘ 사도 司徒 ’ 라는 관명을 폐지했고 , 송나라는 무공 때문에 ‘ 사공 司空 ’ 이란 관명을 버리게 되었습니다 . 우리 노나라 역시 선군이신 헌공과 무공의 이름 때문에 ( 구 具 와 오 敖 ) 두 산의 이름을 버렸습니다 . 그래서 대물로는 이름을 짓지 않는 법입니다 . ” 환공이 말했다 . “이 아이는 태어난 날이 나와 같으니 그를 동 同 이라 고 이름 짓겠다 . ” 2.6.6.  九月丁卯 , 子同 生 .

2.6.5. 대열大閱

본문 가을 , 노나라가 대규모 군사 검열을 실시했다 . 전차와 말을 점검한 것이다 . 2.6.5.  秋 , 大閱 , 簡車馬也 . 해설 ▣ 秋 , 大閱 , 簡車馬也 : 주석 없음.  ⊙ 大閱 :  대열 大閱 은  전차와 전차에 쓰이는 말을 검열한 것 . 

2.6.4. 정나라 태자홀大子忽

이미지
본문 북융 北戎 이 제나라를 정벌하자 제나라가 정나라에 지원군을 요청했다 . 정나라의 태자 홀 忽 이 군사를 거느리고 제나라를 구원했다 . 6 월 , 융을 크게 물리쳤고 , 두 명의 장수 대량과 소량을 잡았으며 융의 병사 300 명을 참수하여 제나라에 바쳤다 . 이때 제후들의 대부들이 제나라를 수비하고 있었는데 제나라는 날고기와 곡식 등의 식재료를 보내고 노나라에 이것을 나눠 줄 순서를 정하게 했다 . 정나라를 뒤에 놓았다 . 태자 홀은 공적을 세웠기 때문에 이 처사에 분노했다 . 훗날 낭 郎 의 전쟁이 발생한 원인이다 . ( ☞ 2.10.5.)  환공이 아직 제나라 문강과 혼인하기 전 , 제 희공은 문강을 정나라의 태자 홀에게 시집보내려 했었다 . 태자홀이 혼사를 사양했다 . 사람들이 그 연유를 묻자 태자가 말했다 . “사람은 모두 제 짝이 있는 법입니다 . 제나라는 대국이니 저의 짝이 아닙니다 . 『시』 ( 『대아·문왕』 ) 에 ‘스스로 많은 복을 받았다’라고 말합니다 . 복은 자신에게 달린 것일 뿐 대국과 무슨 상관이 있겠습니까 ? ” 군자가 말했다 . “자신을 위해서는 훌륭한 선택이었다 . ” 공자홀이 융의 군사를 격파하자 , 제 희공이 재차 그에게 혼사를 청했지만 홀은 거듭 사양했다 . 어떤 사람이 그 까닭을 묻자 태자는 말했다 . “제나라에 아무 일이 없었을 때도 감히 혼인하지 않았는데 , 지금 군명을 받아 제나라의 위급을 구원하러 달려와 부인을 얻어 귀국한다면 이는 군사를 이용해 개인의 혼사를 얻은 것입니다 . 백성들이 저를 무엇이라 하겠습니까 ? ” 곧이어 정 장공에게 알려 사양하게 했다 .  2.6.4.  北戎 伐 齊 , 齊 使乞師于 鄭 . 鄭大子忽 帥師救 齊 . 六月 , 大敗 戎 師 , 獲其二帥 大良 · 少良 , 甲首三百 , 以獻於 齊 .  於是諸侯之大夫戍 齊 , 齊 人饋之餼 , 使 魯 爲其班 . 後 鄭 . 鄭忽 以其有功也 , 怒 , 故有 郎 之師 . 公之未昏於 齊 也 , 齊侯 欲以 文姜 妻 鄭大子忽 . 大子忽 辭 . 人問其故 . 大子

2.6.3. 기나라(紀)

이미지
본문 여름 , 환공이 기 紀 나라 군주와 성 成 ( 산동성 영양현 寧陽縣 의 북쪽 ) 에서 회합했는데 , 기나라가 와서 제나라로 인한 환란을 자문한 것이다 . 2.6.3.  夏 , 會于 成 , 紀 來諮謀 齊 難也 . 해설 ⊙ 夏四月 , 公會 紀侯 于 成 : ‘성 成 ’은 『곡량전』에선 ‘성 郕 ’으로 쓴다 . 두 글자는 서로 통한다 . 옛 성읍은 현재의 산동성 영양현 寧陽縣 의 북쪽이다 . 후에 맹씨의 채읍이 되었다 . 정공 12 년 중유가 계씨의 재가 되어 성 成 읍의 성벽을 허물려 하자 공렴보 公斂父 가 맹손씨에게 성 成 읍의 성곽을 무너뜨리면 제나라 군사가 반드시 쉽게 북문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 애공 15 년 성읍은 제나라로 편입되었지만 그뒤 제나라는 성을 다시 돌려주었다 . 이런 사실은 이 곳이 노나라의 북쪽 변경 제나라와 가까운 읍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 춘추좌전 지도 - 성成 ▣ 夏 , 會于 成 , 紀 來諮謀 齊 難也 : 자모 諮謀 는 동의쌍음사 同義雙音詞 이다 . 『시·소아·황황자화』의 “두루 묻고 꾀하다 ( 周爰咨謀 ) ”에서의 “묻고 꾀함 咨謀 ” 과 같다 . 제나라가 기나라를 멸망시키려는 욕심이 있었는데 , 은공 2 년의 “노나라의 백희가 기나라로 출가했다”는 기사로 미루어 보면 기나라는 노나라의 사위국이고 , 노나라는 제나라와 최근 성혼을 했으므로 제나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온 것이다 . 춘추좌전 지도 - 기 紀

2.6.2. 초무왕 - 수나라 침략

이미지
본문 초 무왕 武王 이 수 隨 나라를 침략했다 . 위장 薳章 을 사절로 보내 강화를 요구하고 , 하 瑕 ( 미상 ) 에 군사를 주둔한 후 결과를 기다렸다 . 수나라에선 소사 少師 에게 화친을 주관하게 했다 . 투백비 鬬伯比 가 무왕에게 말하였다 . “우리가 한수 漢水 동쪽을 얻지 못한 것은 우리 스스로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 군을 삼군으로 확대하고 우리 병사들을 갑옷으로 무장해 힘으로 군림하니 저들이 두려워 함께 힘을 합해 저항하고 저들을 갈라놓기 어려웠던 것입니다 . 한수 동쪽의 나라들 중 수나라가 대국입니다 . 수나라가 거만해지면 필시 소국들을 방치할 것입니다 . 소국들이 수나라를 이반하면 초나라의 이익입니다 . 수나라의 소사는 교만하니 여위고 약한 병사들을 그에게 보여 교만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 ” 웅율차비 熊率且比 가 말하였다 . “계량 季梁 같은 신하가 건재한데 효과가 있겠습니까 ? ” “이는 훗날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 소사가 군주의 신임을 얻을 때를 위한 것입니다 . ” 이에 무왕은 일부러 대열을 무질서하게 만들고 소사를 맞이했다 . 소사가 귀환하여 초군을 추격하자고 주장했다 . 군주가 허락하려 했다 . 계량이 제지하며 말했다 . “하늘이 바야흐로 초나라를 돕고 있으니 저들의 볼품없는 병사들은 우리를 유인하려는 것입니다 . 왜 서두르려 하십니까 ? 신이 듣건대 소국이 대국을 대적하려면 소국은 잘 다스려지고 대국은 어지러워야 합니다 . 소위 ‘ 도 道 ’ 라는 것은 백성에게 진심을 다하고 귀신에게 신뢰를 다하는 것입니다 . 군주가 백성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 ‘ 충 忠 ’ 이고 , 축사가 신령에게 거짓없이 아뢰는 것이 ‘ 신 信 ’ 입니다 . 지금 우리는 백성들이 굶주리고 군주께선 욕심을 채우기를 좋아합니다 . 축사는 군주의 거짓 공덕을 보고하고 있으니 소신은 우리가 초나라 같은 대국을 대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 수나라 군주가 말했다 . “내가 온전하고 기름진 희생을 쓰고 , 제기에 곡식을 가득 담아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