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8. 예백만芮伯萬

본문

나라 군주 만의 모친 예강芮姜은 예백이 많은 총희를 둔 것을 싫어하여 그를 쫓아냈다. 그는 위나라로 나가 거처했다.


2.3.8. 芮伯萬之母芮姜芮伯之多寵人也故逐之出居于.


해설

芮伯萬之母芮姜芮伯之多寵人也故逐之出居于: 음은 예이고, 나라 이름이다. 예나라는 두 곳이 있다. 첫째, 은상 시대의 예나라로서 우나라와 인접한 나라이다. 『시·대아·면綿』의 “우나라와 예나라가 시비를 가리려고 문왕께 찾아와 화해를 하니(·芮質闕成)”라는 시구가 바로 이 예나라와 관련된 일이다. 둘째, 주나라 기내에 있는 나라이고 희성의 국가로서 일찍이 주 왕실의 경사였다. 『상서서尙書序』의 “소나라 군주巢伯 내조했다. 이에 예나라 군주芮伯가 「여소명旅巢命」을 지었다”에서 언급하는 예나라는 주 무왕 때의 예백이다. 『상서·고명顧命』에 보이는 예백은 성왕 때의 군주이다. 『시·상유桑柔·서』의 “「상유」는 예나라 군주가 여왕을 죽인 일을 노래하고 있다”, 『일주서』엔 「예량부편芮良夫篇」이 있는데 즉 려왕厲王 때의 일이다. 본문의 예백 만은 그 후대의 군주이다. 『사기·진본기秦本紀』에 근거하면 진 목공 20년에 멸망했다. 단 『노사路史·국명기무國名紀戊』에서 나평羅苹은 진나라가 예나라를 멸망시킨 일은 진 목공2년의 일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누가 옳은지 알 수는 없다. 현재의 섬서성 옛 조읍현朝邑縣(지금의 조읍진) 남쪽에 예성이 있는데, 대려현의 동남쪽 50리 떨어진 곳에 옛 예나라가 있었다. 현재 전해지는 이기로는 내공궤內公簋와 내공정內公鼎 그리고 내자중□정內子仲 등이 있다. 이기의 “내”자가 곧 “예”자이다.


춘추좌전 지도 - 


 역시 옛 국명이다(전국 시대의 위나라가 아니다). 민공閔公 원년 진 헌공獻公이 위나라를 멸망시켰는데 바로 이를 가리킨다『방여기요方輿紀要方興紀要』에 따르면 산서성 예성현芮城縣 동북 7리 떨어진 곳에 하북성河北城이 있다이 성을 일명 위성魏城이라고도 부르는데 옛 위나라의 성이다예성현 서쪽 30리 떨어진 곳에 있는 정촌鄭村에 예백성芮伯城이 있다이곳이 예백 만이 쫓겨난 곳으로 여겨진다『수경·하수주河水注』와『노사路史·국명기무주國名紀戊注』은 모두 급총의 『죽서기년』의 “진나라 무공 7년 예백 만의 모친 예강芮姜이 만을 쫓아내어 만은 위나라로 도망쳤다”는 기사를 인용하고 있다.


춘추좌전 지도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