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공의 반란 (춘추좌전.8.12.1.)
성공 12년 봄, 간왕이 사자를 보내 주공의 변란을 알려왔다. 『춘추』는 “주공이 진나라로 도망쳤다(周公出奔晉)”고 썼다. 무릇 주나라 입장에선 천자의 땅이 아닌 곳이 없으므로 ‘출’이란 있을 수 없지만 주공 스스로 떠났기 때문에 그렇게 쓴 것이다.
원문
十二年春,王使以周公之難來告. 書曰 “周公出奔晉”,凡自周無出,周公自出故也.
주석
▣十二年春,王使以周公之難來告. 書曰 “周公出奔晉”: 주공초가 진나라로 망명한 사건은 지난해다. 『춘추』에서 올해 이 사건을 기록한 까닭은 주나라에서 이 때 알려왔기 때문이다.
▣凡自周無出,周公自出故也: 이 문구는 『춘추』의 “출분”에 대한 설명이다. 『좌전』이 말한 것은 “드넓은 하늘 아래 천자의 땅이 아닌 곳이 없다”이다. 그러므로 주 왕실로부터 떠나는 것에 “출”자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런데도 여기서 “출”자를 쓴 까닭은 주공초가 스스로 떠났음을 보여준 것이다. 주 왕실의 신하가 망명을 떠난 사건을 『춘추』에선 모두 세 차례 기록한다. 양공 30년의 “왕자하가 진나라로 망명했다”, 소공 26년의 “왕자조가 초나라로 망명했다” 등인데 이 두 경우는 모두 “출”자를 쓰지 않고 “분”자만 썼다. 본문에서만 “출”자를 썼다. 두예는 “천자에게 ‘밖’이란 없다. 그러므로 망명한 자에게 ‘출’이란 말을 쓰지 않는다. 주공의 경우 왕에게 되돌아왔지만 스스로 주나라와 인연을 끊었기 때문에 출자를 써서 그를 비난했다.”고 설명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