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무신이 주선한 오나라와 중원의 교류 (춘추좌전.8.7.5.)

(과거의 일이다.) 초나라가 송나라를 포위해 항복을 얻고 퇴각한 후 (7.15.2.) 자중이 신(모두 하남성 남양시 부근) 일부 지역을 포상으로 줄 것을 요청했고, 장왕은 이를 허락했었다. 그때 신공申公 무신巫臣이 왕에게 아뢰었다. “안 됩니다. 이곳 신과 려를 읍으로 삼은 까닭은 부세를 거두는 자원으로 삼아 북방을 방어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자중이 그 일부를 취한다면 신과 려의 존재 이유가 없어지고, 필시 진나라와 정나라가 한수까지 진격할 것입니다.” 이 때문에 장왕이 중지했고, 자중은 무신을 원망했다자반子反은 하희를 첩으로 취하려 했지만 무신이 이를 가로막았고 결국엔 자신이 하희를 취해 도망쳤다. 자반 역시 이 때문에 무신을 원망했다

공왕이 즉위하자 자중과 자반은 무신의 일족인 자염子閻, 자탕子蕩, 청윤 불기弗忌, 양노襄老의 아들 흑요黑要를 살해하고 그들의 재산을 나눠 가졌다. 자중은 자염의 재산을 가로챘고, 의 윤과 왕자파에게 자탕의 가산을 분할하여 가지게 했으며, 자반은 흑요와 청윤의 가산을 가졌다

진나라에 머물던 무신이 자중과 자반에게 서찰을 보냈다. “그대들이 간사함과 탐욕으로 군주를 섬기고 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죽였으니 내 반드시 너희를 군명으로 분주히 전쟁터로 파견하여 전쟁터에서 죽게 만들 것이다.” 

무신은 오나라 사행을 자청했고 진 경공이 이를 허락했다. 오왕 수몽은 그의 방문을 반겼다. 이때부터 오나라는 진나라와 사신을 교류했고 무신은 전차 30대를 오나라로 가지고 가서 그 절반을 두고 왔다. 오나라 군사들에게 사수와 마부를 내주고, 전차를 타는 법, 군진을 펼치는 법 등을 가르쳤고, 오나라가 초나라를 배신하게 이끌었다. 무신은 아들 호용狐庸을 오나라에 남겨 외교관이 되게 하였다

오나라는 처음으로 초나라, 소나라 그리고 서나라를 공격했고, 자중은 군주의 명을 받아 전쟁터로 달려갔다. 마릉馬陵의 회맹 때 오나라가 주래州來로 쳐들어 가자 자중은 정나라 땅에 있다가 명을 받고 전쟁터로 달려갔다. 자중과 자반은 이 해에 7차례나 명을 받고 전쟁터로 달려갔다. 초나라에 속한 만이의 땅은 오나라가 다 취했으며 이때 비로소 오나라의 세력이 커졌고 이로 인해 중원의 나라들과 통교하게 되었다.


원문

之役師還子重請取於·以爲賞田. 王許之. 申公巫臣: 不可. ·所以邑也是以爲賦以御北方. 若取之是無··必至于.王乃止. 子重是以怨巫臣. 子反欲取夏姬巫臣止之遂取以行子反亦怨之. 共王卽位子重·子反巫臣之族子閻·子蕩弗忌襄老之子黑要而分其室. 子重子閻之室使尹與王子罷子蕩之室子反黑要尹之室. 巫臣遺二子書, : 爾以讒慝貪惏事君而多殺不辜余必使爾罷於奔命以死.

巫臣請使於晉侯許之. 吳子壽夢說之. 乃通以兩之一卒適舍偏兩之一焉. 與其射御乘車之戰陳之叛. 寘其子狐庸使爲行人於. 始伐··子重奔命. 馬陵之會州來子重奔命. 子重·子反於是乎一歲七奔命. 蠻夷屬於盡取之是以始大於上國.


관련 주석

之役: 선공 14년과 15년의 『좌전』기사 참조.

師還子重請取於·以爲賞田: 『좌전·은공원년』의 주석 참조. 는 옛 나라 이름. 강성이며 주 목왕 때 봉건하였다. 『상서』의 「여형」편은 곧 여후가 쓴 것이다. 서주시대 이기에 이 있다. 곽말약의 『양주금문사대계도록고석』에선 이 역시 여후가 제작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기로 려종과 려대숙부가 있는데, 손이양은 『주고술림·여종발郘鍾跋』에서”는”라고 주장했는데 옳다. 「정어」의 “신 강성하다”란 문구가 있는데, 주나라 유왕 9년 당시 국세가 강성했었지만 춘추시대에 이미 초나라에 멸망당했다. 그 옛성은 하남성 남양시의 서쪽이다. 자중은 려와 신 두 현의 일부 토지를 얻으려고 했다. 고대에 본래 토지를 상으로 하사하는 제도가 있었다. 『주례·지관·재사載師』의 소위 “원교의 토지는 관전·우전·상전·목전으로 사용한다(以官田·牛田·賞田·牧田壬遠郊之地)”로 입증할 수 있다. 또 “賞地”라고도 한다. 『주례·하관·사훈司勳』의 소위 “육경의 상지(賞地)에 관한 법을 관장하여 그 공로의 등급을 매긴다.”는 말로 입증할 수 있다.

王許之. 申公巫臣: 不可. ·所以邑也是以爲賦: 신과 려의 땅이 모두 공가의 소유이기 때문에 비로소 신과 려가 읍으로 존재할 수 있고, 군사에 필요한 부세가 여기에서 산출될 수 있다.

以御北方: “어”는 “방어”와 같다.

若取之是無·: 만약 두 읍의 일부를 상으로 개인에게 하사하면 신과 려는 읍을 이룰 수 없다.

·必至于.: 신과 려가 읍을 이룰 수 없게 되면 북방을 방어할 수 없게 되며 진과 정이 한수에까지 진격할 수 있게 된다.

王乃止. 子重是以怨巫臣. 子反欲取夏巫臣止之遂取以行: 취는 처로 삼다(). 무신이 하희를 처로 삼아 진나라로 망명한 일은 『좌전·성공2년』의 기사에 보인다.

子反亦怨之. 共王卽位子重·子反巫臣之族子閻·子蕩弗忌襄老之子黑要: 자염子閻 자탕, 불기는 두예의 주석에 따르면 모두 “무신의 일족”이다. 청윤靑尹은 장병린의 『독』에 따르면, 지방관이 아닌 조정의 관리이다. 『오이吳彝』에 “청윤이 보내로운 준이를 만들었다(用作靑尹寶尊彝)”라는 문구가 있는데, 본문의 “청윤”과 같은지는 알 수 없다. 이 사건은 초 공왕 즉위 2년 이후에 벌어진 일이므로 『좌전』의 “공왕이 즉위하자”는 공왕이 즉위한 이후라는 뜻이다.

而分其室: 은 일족의 재산家産이다.

子重子閻之室使尹與王子罷子蕩之室子反黑要尹之室. 巫臣遺二子書: 이자는 자중과 자반이다. 「진세가」는 “무신이 분노하여 자반에게 서찰을 보냈다”고 적는다. 자중을 생략했다.

: 爾以讒慝貪惏事君: 같은 뜻이다. 『좌전·환공6년』의 주석 참조. 은 람 같고 탐함의 뜻.

而多殺不辜余必使爾罷於奔命以死.: 주석 없음.


춘추좌전 지도 - 중원과 오나라의 통교


巫臣請使於晉侯許之. 吳子壽夢說之: 「오세가」는 무신이 오나라 수몽 2년에 진의 사신으로 갔다고 하는데, 바로 이 해이다. 그런데 이 해에 오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전차전술을 가리치고, 바로 그 해에 초나라 정벌에 나서 주래로 쳐들어가 초나라를 7차례 패퇴시킨 셈이 되는데 그의 군사훈련 효과가 이처럼 빠르게 나타날 수 있을까? 혹 무신은 지난해에 오나라로 갔는데, 사마천은 『좌전』의 문장에 근거해서 대략적으로 기술한 것일 지도 모른다.

乃通以兩之一卒適舍偏兩之一焉: 兩之一卒”은 양편의 군사를 합해 전차병으로 했다는 뜻이므로 전차 30대를 말한다. 舍偏兩之一”은 그 병력의 반절 즉 15대의 전차를 오나라에 남겨 두었다는 의미이다. 강영의 『보의』에 설명이 자세하다. 『좌전·선공12년』의 주석을 함께 참조하라.

與其射御: 오나라에 활쏘는 사수와 전차를 모는 병사를 지원했다는 뜻. ”는”의 용법으로 쓰였다.

乘車之戰陳之叛. 寘其子狐庸使爲行人於: 행인行人 대해선 환공 9년과 선공 12년의 『좌전』주석을 참조.

始伐··: 소는 『춘추·문공12년』의 주석을, 서는 『춘추·장공26년』의 주석을 참조.

子重奔命: 소와 서를 구원하러 갔다. 이 일은 올해에 있었다. 마릉의 회합 이전의 일이다.

馬陵之會州來子重奔命. 子重·子反於是乎一歲七奔命: 7차례에 걸쳐 명령을 받고 오나라 군사를 방어하러 갔다.

蠻夷屬於盡取之是以始大於上國: 상국은 중원의 여러 나라를 가리킨다. 「오세가」는 “오나라는 이때 비로소 중원의 여러 나라와 통교했다.”고 적는다.


👉 신공무신이 하희를 빼돌려 망명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