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릉전쟁 헌첩과 극지의 교만 (춘추좌전.8.16.12.)


언릉전쟁 헌첩과 극지의 교만


진 여공이 극지를 보내 초나라한테 획득한 전리품을 주나라에 바쳤다

극지가 선양공單襄公과 담소를 나누며 자신의 공적을 여러 번 자랑했다. 선자가 대부들에게 말했다. “아마 온계溫季는 망할 것이다! 지위는 여덟 번째인데 상사의 공로를 덮으려 한다. 원망이 모이면 환란의 원인이 된다. 원한을 쌓고 한 발씩 환란으로 나아가니 어찌 자리를 보전할 수 있겠는가? 『하서』에 ‘원망이 어찌 밝은 곳에만 있을까? 보이지 않는 곳도 염려해야 한다’고 하니, 이는 작은 일도 조심해야 함을 말한다. 그런데 지금 원망을 살 일을 밝게 드러냈으니 어떻게 자리를 보전하겠는가?


원문 

(8.16.12.) 晉侯使捷于單襄公驟稱其伐. 單子語諸大夫曰: 溫季其亡乎! 位於七人之下而求掩其上. 怨之所聚亂之本也. 多怨而階亂何以在位? 夏書: 怨豈在明? 不見是圖.其細也. 今而明之其可乎?


주석

晉侯使捷于單襄公: 「주어중」역시 이 사건을 기재하고 있는데, “극지가 소환공을 만나 얘기를 했고, 소공이 이를 선양공에게 전했다.”고 하여 『좌전』과는 다르다.

驟稱其伐: 여러 번 자신의 공로를 자랑했다. 「주어중」에는 극지의 말이 기재되어 있다.

單子語諸大夫曰: 溫季其亡乎!: 온계는 극지이다. 『좌전·성공11년』의 주석을 참고.

位於七人之下: 극지는 당시 신군의 보좌로서 그의 위로 난서·사섭·극기·순언·한궐·순앵·극주 등이 있었다.

而求掩其上: 엄은 덮음이다. 「주어중」에선 극지가 신군의 보좌의 지위에서 도약하여 정치를 담당하려 했다고 말한다.

怨之所聚亂之本也. 多怨而階亂: 자의 용법은 『좌전·은공3년』의 “階之爲禍”와 같다. 계란階亂은 재앙이 한발한발 다가옴이다.

何以在位? 夏書: 怨豈在明? 不見是圖.: 두 문구는 본래 일『서』인데, 위고문의 「오자지가」에 삽입되어 있다. 원망을 예방하는 길은 다만 드러난 곳의 원한뿐만 아니라 쉽게 보이지 않는 작은 곳의 원한도 생각하고 염려해야 한다는 뜻.

其細也. 今而明之其可乎?: 다음 해 극지 등이 피살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