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를 청한 진나라 한궐과 후계를 양보한 한무기 (춘추좌전.9.7.6)



겨울 10, 의 한헌자가 노령으로 사직을 청하고 공족대부 목자穆子에게 고질병이 있지만 그를 후계로 세우려 했다. 목자가 사양하며 말했다. 『시』(『소남·행로』)에 ‘어찌 밤낮으로 가고 싶지 않을까? 길가의 저 많은 이슬 때문이다.’라고 말합니다. 또 ‘몸소 하지 않으면 백성이 믿지 않는다.(『소아·절남산』)라고 말합니다. 무기는 재주가 없으니 사양함이 옳지 않겠습니까? 청컨대 기(한선자)를 후계로 삼으십시오. 그는 전소田蘇와 어울리는데 전소는 기에 대해 ‘인함을 좋아한다.’라고 말합니다. 『시』(『소아·소명』)에 ‘네 지위에 삼가고 공경하며 정직한 이를 가까이하라. 신께서 들으시고 너를 도와 큰 복을 내리리라.’라고 말합니다. (직분을 삼가 공경하여) 백성을 걱정하는 것이 덕이고, 자신의 본래 곧은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 정이고, 남의 굽은 것을 바로 펴주는 것을 직이라 합니다.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룬 것이 인이니 이처럼 할 수 있다면 신께서 들으시고 큰 복을 내려 주실 것입니다. 그를 세우는 것이 옳지 않겠습니까?” 


경술일(9) 경술일, 한궐은 선자를 입조케 하고 자신은 사직을 청하였다. 진 도공은 한무기의 사람됨이 인하다고 여겨 공족대부들을 관장하게 하였다.



원문

(9.7.6.) 冬十月晉韓獻子告老公族穆子有廢疾將立之. 辭曰: “『: 豈不夙夜? 謂行多露.又曰: 弗躬弗親, 庶民弗信.無忌不才, , 其可乎? 請立. 田蘇而曰好仁. : 靖共爾位好是正直. 神之聽之介爾景福.恤民爲德正直爲正正曲爲直參和爲仁. 如是, 則神聽之介福降之立之不亦可乎?庚戌使宣子遂老. 晉侯韓無忌使掌公族大夫.



주석

冬十月晉韓獻子告老: 노령으로 은퇴를 요청한 것.

公族穆子有廢疾: 공족(대부) 목자의 이름은 무기無忌이다. 두예: “한궐의 장자로서 성공 18년에 공족대부가 되었다.” 폐는 폐와 같고 『설문』은 “폐는 지병이다(, 固病也).”라고 풀이한다. 어떤 이는 오랫동안 치료해도 고쳐지지 않은 병이라고 하고, 어떤 이는 불구가 되는殘廢 병이라고 한다.

將立之: 한궐을 대신하여 경이 되다.

辭曰: “『: 豈不夙夜? 謂行多露.: 『국풍·소남·행로行露』의 시구이다. 시의 본래 의미는 한 남녀가 서로 사랑하는데 남자가 억지로 사랑하려고 했지만 여자는 예를 지켰다. 두려운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 는 어찌 ~할 수 있겠는가(奈何)의 뜻. 은 도로. 여자가 남자에게 회답하길, 조석으로 그대에게 왜 가고 싶지 않겠느냐만 길에 이슬이 너무 많으니 어찌 갈 수 있을까라는 뜻. 원래의 시는 비유이고 여기서는 단장취의한 것이다. (후계를 원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자신에게 병이 있어 조정에 출사하여 군주를 섬길 수 없다는 뜻. 

又曰: 弗躬弗親, 庶民弗信.: 『소아·절남산』의 시구. 인용한 뜻은 역시 자신은 병이 있어서 몸소 일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대중의 신임을 얻을 수 없을 것이라는 의미. 과거 신으로 읽었는데 운이 같다.

無忌不才, 其可乎? 請立: 무기의 시호가 목자이고, 기는 그의 동생이며 시호는 선자宣子이다.

田蘇而曰好仁: 두예: “전소는 진나라의 현인이다. 그가 기에 대해 인을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평한 것이다.

: 靖共爾位好是正直. 神之聽之, 介爾景福.: 『소아·소명』의 시구이다. 靖共爾位”는 『대아·한혁』의 “虔共爾位”와 같다. 너의 지위/직분에 충실하고 삼가라. 바른 사람과 곧은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은 충실의 내용이다. ‘신지청지에서 앞의 “지”는 뜻이 없어 神聽之와 같다. 는 돕다. 은 크다.

恤民爲德: 두예: “네 직분을 삼가 공경을 다하는 것(靖共其位)이 휼민하는 방법이다.” 유월의 『다향실경설』은 『좌전』에서 인용한 『시』는 본래 “靖共爾德”이라고 주장하며 “덕”의 뜻으로 해석하지만 옳지 않다.

正直爲正: “정직”은 다음의 “정곡”과 대구를 이룬다. 다만 “정직”은 뜻이 명확하지 않다. 이미 곧은 것을 왜 또 바르게 해야 하는가? 두예는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正己心)”을 정직이라고 여겼고, “남의 잘못을 바로잡는 것(正人曲)”을 “正曲”이라고 풀이했다. 자신과 타인으로서 원문의 직과 곡을 풀이했다. 비록 이 해석은 『시』의 모『전』에 근거하고 있지만 분명히 억지이다. 생각건대 정직이란 본래 자신이 가진 직도直道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正曲爲直參和爲仁: 참화는 덕과 정 그리고 직, 세가지를 조화시켜 하나로 함이다.

如是, 則神聽之介福降之: 크다. 개자로 『시』의 “경”자를 해석했다. 원래 『시』의 “개”와는 다른 뜻이다. 『시·소아·초차』의 “報以介福”의 개자와 같은 뜻이다.

立之不亦可乎?: 주석 없음.

庚戌: 경술일은 9일이다.

使宣子遂老: 한궐은 본래 중군의 장수이며 진나라의 정경이었다. 한기는 그의 경의 지위를 이은 것이지 정경은 아니다. 『좌전·양공9년』에 근거하면 지앵이 한궐을 대신하여 중군의 장수가 되었다.

晉侯韓無忌使掌公族大夫: 공족대부는 한 사람만은 아니다. 여기서는 공족대부의 수장을 의미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