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환공의 패도와 왕도霸王之器 (4.1.5.)

겨울, 제나라의 중손추仲孫湫가 우리나라로 와서 정세를 살폈다. 『춘추』에 그를 “중손仲孫”으로 쓴 것은 역시 그의 행동을 훌륭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중손추가 귀국하여 환공에게 보고했다. “경보를 제거하지 않는 한 노나라의 혼란은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경보를 제거할 수 있겠는가?

“혼란이 그치지 않으면 스스로 화를 부를 것이니 때를 기다리십시오!

“우리가 노나라를 취할 수 있겠는가?

“불가합니다. 노나라는 여전히 주나라의 예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주나라의 예는 나라를 지키는 근간입니다. 신은 ‘나라가 망하려면 뿌리가 먼저 뽑히고 가지가 그 뒤를 따른다.’고 들었습니다. 노나라는 주나라의 예를 버리지 않았으니 아직 움직일 수 없습니다. 군주께서는 노나라의 혼란을 안정시키는데 힘쓰시고 가까이 두십시오. 예를 지키는 나라를 가까이하고, 중후하고 견고한 나라를 의지하며, 분열되고 혼란한 나라는 틈을 이용하고, 어지러운 나라는 멸망시키는 것, 이것이 패자와 왕자가 갖춰야 할 자질입니다.


원문 

4.1.5. 齊仲孫湫來省難書曰: 仲孫”,亦嘉之也.

仲孫歸曰: 不去慶父難未已.公曰: 若之何而去之?對曰: 難不已將自斃君其待之!公曰: 可取乎?對曰: 不可. 猶秉. 所以本也. 臣聞之: 國將亡本必先而後枝葉從之.不棄未可動也. 君其務寧難而親之. 親有禮因重固覆昏亂霸王之器也.


관련 주석

齊仲孫湫來省難書曰: 仲孫”,亦嘉之也: 는 중손의 이름이다. 『춘추』에서 이름을 쓰지 않고 자를 쓴 까닭 역시 그를 칭찬함의 뜻이다. 은 시찰의 의미.

仲孫歸曰: 不去慶父難未已.: 그 당시 경보가 이미 제나라에서 노나라로 귀국했기 때문에 중손이 이같이 말한 것이다.

公曰: 若之何而去之?對曰: 難不已將自斃: 이 문구는 『좌전·은공원년』의 “불의한 일을 많이 행하면 필시 스스로 화를 부를 것이다(多行不義, 必自斃)”의 뜻과 유사하다.

君其待之!公曰: 可取乎?對曰: 不可. 猶秉: 은 지킴·지탱·잡음의 뜻이다.

所以本也. 臣聞之: 國將亡本必先而後枝葉從之.: 『시·대아·탕』의 “또한 세간에 이런 말이 있다: 쓰러진 나무 그 뿌리 드러날 때, 가지와 잎은 아직 상하지 않았어도 뿌리가 먼저 뽑혀 죽는다(人亦有言: 顚沛之揭, 枝葉未有害, 本實先撥).” 시의 본래 뜻과는 시각이 다르지만 인용한 바의 뜻은 대략 비슷한 점이 있다.

不棄未可動也. 君其務寧難而親之. 親有禮因重固: 과 고 각 뜻은 서로 기대는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하나의 단어로 쓰여서 중후하고 견고함이 있는 나라를 가리킨다. 에는 믿고()와 친함()의 뜻이 있다.

: 어떤 나라에 내부적으로 서로 반심을 품게 되면 그것을 기회로 삼아 이간질한다.

覆昏亂: 혼란한 나라는 그에 근거하여 멸망시킨다.

霸王之器也.: 『좌전·성공16년』의 “덕·형·상(제사지낼때 용의주도함)·의·예·신은 전쟁의 중요한 요소()이다.” 본문과 기자의 용법은 같다. 두예는 그에 대한 주석에서 “기는 용의 뜻”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 춘추좌전 완역 블로그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