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주 영왕, 제 영공에 사명賜命 (춘추좌전.9.14.8.)

주 영왕, 제 영공에 사명 賜命 영왕이 유정공 劉定公 을 파견하여 제 영공에게 사명 賜命 하고 말했다 . “과거 백구 태공이 우리 선왕을 보좌하여 왕실의 대신으로서 만민의 사보 師保 를 역임하였다 . 왕실은 이에 대대로 태사의 직위로 보답하여 동방의 제후들을 영도하게 하였다 . 왕실이 무너지지 않은 것은 백구의 은혜에 힘입은 바 크다 . 이제 나는 그대 환 環 에게 명하노라 . 구씨 ( 태공 ) 의 법을 성실하게 따르고 네 선조의 뜻을 계승하여 선조들을 욕보이지 말 것이다 . 공경할지어다 ! 짐의 명을 어기지 말지어다 ! ” 원문 (9.14.8.)  王使 劉定公 賜 齊侯 命 , 曰 : “ 昔伯舅 大公 右我先王 , 股肱 周 室 , 師保萬民 . 世胙大師 , 以表東海 . 王室之不壞 , 繄伯舅是賴 . 今余命女 環 , 茲率舅氏之典 , 纂乃祖考 , 無忝乃舊 . 敬之哉 ! 無廢朕命 ! ” 주석 ▣ 王使 劉定公 賜 齊侯 命 : 두예 : “제나라 공실과 혼인을 하려 했기 때문이다 . 정공은 유하 劉夏 이다 . ” ▣ 曰 : “ 昔伯舅 大公 右我先王 : 대 大 는 태 太 와 같다 . 태공은 곧 여상 呂尙 이고 성은 강 姜 이다 . 그래서 강태공이라 부른다 . 『시·벌목』의 『정의』에선 “우아선왕”을 “ 佐我先王 ”으로 인용하고 있다 . ‘ 우 ’ 란 보좌함이다 . ▣ 股肱 周 室 , 師保萬民 . 世胙大師 : 조 胙 는 보답 報酬 ( 보수 ) 이다 . 대사는 곧 태공이고 주 문왕이 그를 사로 삼았었다 . ▣ 以表東海 : 표 表 는 통솔 ( 表率 ) 의 뜻 . 동방 제후들의 영도자로 삼다 . 『좌전·양공 29 년』의 “동쪽 제후들을 영도하는 자 ( 表東海者 ), 태공일 것이다 . ”의 “표”와 같다 . ▣ 王室之不壞 , 繄伯舅是賴 : 예 繄 는 발어사로 뜻이 없다 . 『좌전·은공원년』의 “ 繄我獨無 ”의 “예 繄 ”와 같다 . 백구는 태공이다 . 주나라 왕은 이성의 제후에게 나이의 고하에 관계없이 백구 혹은 구씨 舅氏 로 호칭한다 . 혹 여기의 백구는 제 환공을 가리

오나라를 정벌한 초나라 자낭의 패배 (춘추좌전.9.14.7.)

이미지
오나라를 정벌한 초나라 자낭의 패배    가을 , 초 강왕이 용포 庸浦 의 전쟁 ( ☞ 9.13.5.) 에 보복하려고 자낭 子囊 에게 당 棠 ( 강소성 육합현 六合縣 의 서북쪽 ) 에 출병하여 오나라를 정벌하게 했다 . 오나라가 군사를 내보내지 않자 회군했다 . 자낭은 후위에 있었고 오나라가 공격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 경계를 소홀히 했다 . 오나라가 고주 皋舟 의 협곡에서 초군의 허리를 공격했다 . 양분된 초군은 서로 구제할 수 없었고 , 오나라는 초군을 격파하고 공자의곡 公子宜穀 을 사로잡았다 .   원문 (9.14.7.)  秋 , 楚子 爲 庸浦 之役故 , 子囊 師于 棠 , 以伐 吳 . 吳 不出而還 . 子囊 殿 , 以 吳 爲不能而弗儆 . 吳 人自 皋舟 之隘要而擊之 . 楚 人不能相救 , 吳 人敗之 , 獲 楚公子宜穀 . 주석 ▣ 秋 , 楚子爲 庸浦 之役故 : 용포의 싸움은 작년 주석 참조 . ▣ 子囊 師于 棠 , 以伐 吳 : 당 棠 은 현 강소성 육합현 六合縣 의 서북쪽 25 리 떨어진 곳 . ▣ 吳人 (1) 不出而還 : 각본에는 “인 人 ”자가 없다 . 여기서는 금택문고본을 따라 덧붙였다 . ▣ 子囊 殿 , 以 吳 爲不能而弗儆 . 吳 人自 皋舟 之隘要而擊之 : 두예 : “고주 皋舟 는 오나라의 험한 길이다 . ” 요 要 는 요 腰 가 본자이고 여기서는 동사로 쓰였다 . 절단하다 . ▣ 楚人不能相救 , 吳人敗之 , 獲 楚公子宜穀 : 주석 없음 . (1)   각본에는 “인”자가 없다 . 여기서는 금택문고본을 따라 덧붙였다 .

악사 사광師曠의 군주란 어떤 존재인가? (춘추좌전.9.14.6.)

악사 사광 師曠 의 군주란 어떤 존재인가? 사광 師曠 이 진 도공의 시중을 들고 있었다 .  도공이 말했다 . “위나라 사람들이 군주를 축출하다니 너무 심하지 않은가 ? ” 사광이 대답했다 . “아마도 군주의 실정이 실로 과했던 것 같습니다 . 훌륭한 군주는 선에 포상하고 악을 단죄하며 , 자식처럼 백성을 양육하고 하늘처럼 덮어주고 땅처럼 포용합니다 . 백성은 군주를 받들기를 부모처럼 사랑하고 해와 달처럼 우러러보며 신명처럼 존경하고 천둥처럼 두려워하니 어찌 축출할 수 있겠습니까 ?  무릇 군주는 제사의 주관자이고 백성이 앙망하는 존재입니다 . 만약 군주가 백성의 삶을 곤경에 빠뜨리고 신명의 제사를 끊는다면 이는 백성의 기대를 끊고 사직에 주관자가 없는 것이니 장차 그런 군주를 무엇에 쓰겠습니까 ? 쫓아내지 않고 어찌 하겠습니까 ? 하늘이 백성을 내고 군주를 세운 것은 그에게 백성을 양육하여 본성을 잃지 않게 인도하라는 것입니다 . 군주가 있고 , 그를 위해 경대부를 둔 것은 군주의 사 師 와 보 保 가 되어 보좌하고 그가 법도를 넘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  이런 까닭에 천자에게 제후가 있고 , 제후에게 경이 있으며 , 경에게 측실 側室 이 있고 ( 관직명 . 장자를 제외한 아들 중 한 명을 임명한다 .), 대부에게 이종 貳宗 이 있으며 ( 관직명 . 종실 자제 중 한명을 세운다 .), 사에게 동지 朋友 가 있고 , 서인 庶人 ·공 工 ·상 商 ·조 皂 ·예 隸 ·목 牧 ·어 圉 등에겐 모두 친척이 있어서 서로 돕고 보완하게 한 것입니다 . 선을 행하면 칭찬하고 , 과실이 있으면 바로잡고 , 우환이 닥치면 구제하고 , 실정이 있으면 개혁합니다 . 왕 이하 각 부형과 자제들이 존재하는 것은 왕의 정치를 살피고 보완하기 위함입니다 . 사관은 군주의 거동을 기록하고 , 악사는 시를 노래하고 , 악공은 잠언을 낭송하고 , 대부는 군주의 잘못을 바로잡고 인도하며 , 사는 절차에 따라 간언하고 , 서인은 모여서 비방하며 , 상인 ( 商旅 ) 은 시장에서 떠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