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도공의 민생 안정책 (춘추좌전.9.9.9.)
진 도공이 귀국했고, 민을 안정시킬 방법을 모색했다.
위강魏絳은 백성에 은혜를 베풀기를 청하였는데 공실과 대부들이 쌓은 재화를 풀어 백성에 빌려주게 했다. 군주 이하 부를 축적한 자들이 모두 재화를 내놓았다. 이 때문에 나라에 재화가 적체되지 않았고 곤경을 겪는 사람들이 없어졌다. 공이 산과 늪지의 산물을 취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자 탐욕을 추구하는 백성도 사라졌다. 기도할 때 희생 대신 예물을 사용했고, 빈객을 접대할 때 한 마리의 희생만 사용했으며, 예기는 새로 만들지 않았고, 수레와 의복은 수요를 따르게 했다. 일년 간 이 정책을 실행하니 나라에 법이 서게 되었다. 진나라가 세 번 군사를 일으켰지만 초나라는 이에 대적할 수 없었다.
원문
(9.9.9.) 晉侯歸,謀所以息民. 魏絳請施舍,輸積聚以貸. 自公以下,苟有積者,盡出之. 國無滯積,亦無困人; 公無禁利,亦無貪民. 祈以幣更,賓以特牲,器用不作,車服從給. 行之期年,國乃有節. 三駕而楚不能與爭.
주석
▣晉侯歸,謀所以息民: (전쟁으로 지친) 백성들의
휴식과 양생을 위한 방안
춘추시대 지도. 진나라
▣魏絳請施舍: 『좌전·선공12년』의 주석 참조.
▣輸積聚以貸: 수輸는 운반하다. 적취積聚는 재화를 가리킨다. 재물을 운반하여 백성들에게 빌려주다.
▣自公以下,苟有積者,盡出之. 國無滯積: 재화가 유통되어 생산에 이용되었다.
▣亦無困人: 생활고를 알려 오는 사람이 없게 되었다.
▣公無禁利: 군주 소유의 산과 연못의 생산물을 백성들과 공유하다.
▣亦無貪民: 백성들 역시 탐욕을 부리지 않음.
▣祈以幣更: 기도할 때 희생을 쓰지 않고 가죽과 폐물로 대체했다. 피는 여우
등의 가죽이고, 폐는 비단을 말한다. 『예기·월령』과 『여씨춘추·중춘기』에 모두 “기도에 희생을 쓰지 않고 규와 벽 등의 옥과 피폐를 사용한다.”라고 쓰는데 이와 비슷한 부류이다. 혜동은 경更을 경梗자로 읽었는데 『관자·사시편』의 “신께 기도하여 경색된 바를 소통시켰다(謹禱弊梗)”라는 문구를 근거로 삼았다. 왕인지 역시 폐幣와 폐弊는 같으며 경梗은 禱祭라고 주장했다. 상세한 설명은 그들의 『보주』와 『술문』을
참조. 그러나 그들이 사례로 든 것들은 본문과는 성격이 다르므로 신뢰할 수는 없다.
▣賓以特牲: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는 한 마리의 희생을 사용할 수 있게 함. 일생一牲은 특特이라고 부른다.
▣器用不作: 새로운 예기를 만들지 않고 이전의 것을 그대로 쓴다.
▣車服從給: 수레와 복식을 필요한만큼 만들고 남아돌 정도로 만들지 않는다.
▣行之期年: 기는 기朞와 같다. 1년의 뜻.
▣國乃有節: 『좌전·양공11년』의 “초나라는 아직 절도가 서지 않았다(楚未節也)”, 『국어·월어』의 “오늘날 월나라 역시 법도가 서 있다(今越國亦節矣)” 등에서 절자가 모두 본문의 절자와 뜻이 같다. 절자의
뜻은 매우 광범위한데 예절이나 법도 등을 모두 절이라고 부를 수 있다. 지킬 바를 잘 지키는 것 역시
절이라고 부른다.
▣三駕而楚不能與爭: 가는 출병을 위해 전차를 준비하는 것. 두예는 “삼가란 세 번 군사를 출병함이다. 즉 양공 10년 우수에서, 11년 향에서 그리고 그해 가을 정나라의 동문에서 열병식을 거행했다. 이후로 정나라는 진나라에 결국 복종하게 되었다.”라고 설명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