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류된 정나라 사신들을 석방한 초나라 (춘추좌전.9.13.7.)


억류된 정나라 사신들을 석방한 초나라



정나라의 양소良霄와 태재 석착은 여전히 초나라에 억류되어 있었다. ( 9.11.5.

석착이 자낭에게 말했다. “선왕들은 정벌에 나설지 5년에 걸쳐 점을 쳤습니다. 매년 반복해서 상서로운지 점치고 상서로움이 반복되면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더욱 덕을 닦아 점괘의 결과를 고치려 했습니다. 작금의 사태는 실로 초나라가 강하지 못해 벌어진 일이지 행인行人이 무슨 죄가 있습니까? 정나라의 경을 억류하여 그가 군주와 신하들을 압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거하고, 저들이 더 돈독해지고 초나라를 미워하게 하여 진에 더 단단히 붙게 하면 무슨 이익이 되겠습니까? 우리를 돌려보내 사신을 보냈던 의도를 무산시키고 우리로 하여금 군주를 원망하고 대부들을 미워하게 하여 서로 견제하게 하는 것이 더 낫지 않겠습니까?” 초나라는 그들을 돌려보냈다.


원문

(9.13.7.) 良霄·大宰猶在. 言於子囊: 先王卜征五年而歲習其祥祥習則行. 不習, 則增修德而改卜. 實不競行人何罪? 一卿以除其偪使睦而疾以固於, 焉用之? 使歸而廢其使怨其君以疾其大夫而相牽引也不猶愈乎?人歸之.



주석

良霄·大宰猶在: 두 사람은 정나라를 위해 초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 억류되었었다. 『좌전·양공11년』의 기사 참조.


춘추시대-소어-전쟁


言於子囊: 先王卜征五年: 『주례·춘관·태복太卜』에서 8가지 일은 반드시 거북점을 친다고 말한다. 첫 번째가 정인데 정중은 이 정을 군사 정벌로 해석했다. 옳다. 정현은 정행 즉 순수라고 해석했는데 틀리다. 그런데 정벌하기 5년 전부터 점을 친다는 말은 사리에 맞지 않은 듯하고 다른 문헌에서도 이런 말은 없다. 심동의 『소소』: “이는 과거 초 선왕 때의 고사이다. 초나라가 정나라를 정벌하는 일이 이롭지 않은 까닭을 덕을 닦지 않았기 때문으로 돌려 자기 주장의 근거로 삼은 것이다.” 대체로 뜻이 통한다.

而歲習其祥: “습”자는 어떤 판본에선 “습”자로 쓴다. 두 글자는 통용되며 거듭의 뜻. 상은 길한 조짐이다. 歲習其祥”은 5년 동안 매해 정벌에 대해 점을 쳐 길한 결과가 나옴이다.

祥習則行: 매년 길한 점괘가 나온다면 군사를 일으킨다.

不習: 어떤 해의 점괘 결과가 불길한 것을 말함.

則增修德而改卜: 증수덕은 더욱 덕을 닦음이다.

實不競: 주빈의 『경전고증』: “불경은 초나라는 스스로 강해질 수 없음이다.

行人何罪?: 행인은 사신으로 온 두 사람이다.

一卿: 두예: “일경은 양소를 말한다.” 지는 억류함. ‘집’이라고 표현하지 않은 까닭은 외교적 수사이다.

以除其偪: 양소는 사람됨이 강퍅하여 정나라의 군주와 신하들을 핍박할 수 있다. 초나라가 그를 억류하는 것은 그를 제거해 정나라의 우환을 없애주는 것과 같다.

使睦而疾以固於: 자신을 억류함으로써 정나라 국내는 안정되고 초나라에 대한 원한은 생기면 진나라에 복종하는 마음이 견고해질 것.

焉用之?: 초나라에게 무슨 이익이 있겠는가?

使歸而廢其使[1]: “사使”는 완각본엔 “소”로 쓰여 있지만 여기서는 두예의 주석, 『석문』 그리고 금택문고본에 근거하여 정정했다. 폐는 버림. 즉 양소 등을 귀국시키면 정나라는 필시 우리를 알맞은 자리에 배치할 것.

怨其君以疾其大夫: ‘는 여. 『사전』에 용례가 있다. 즉 양소를 귀국시키면 그는 정나라 군주를 원망하고 여러 경들에게 원한을 가지게 될 것.

而相牽引也: 당시 정나라는 불목하고 서로 견제했다.

不猶愈乎?: 『논어』정현의 주석: “유 같다.” 이 계략이 자신을 억류하여 귀국시키지 않는 것보다 낫다.

人歸之: 그후 과연 양소는 정나라의 우환이 되었다.



(1) “사使”는 완각본엔 “소”로 쓰여 있지만 여기서는 두예의 주석, 『석문』 그리고 금택문고본에 근거하여 정정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