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20의 게시물 표시

2.2.8. 잘못된 이름 짓기 - 구仇, 성사成師

이미지
진나라 내전과 잘못된 이름 애초 , 진 晉 목공의 부인 강씨가 조 條 ( 산서성 안읍진 ) 의 전쟁 당시 태자를 낳아 구 仇 라고 이름지었다 . 그의 아우는 천무 千畝 ( 산서성 안택현 ) 의 전쟁 때 출산했고 , 이름을 성사 成師 라고 지었다 . 사복 師服 이 말했다 . “기이하다 , 군자가 아들의 이름지음이 ! 무릇 이름은 만물의 ‘ 의 義 ’ 를 제정하고 , 이 ‘ 의 ’ 에서 물의 예가 나오며 , 예로써 정치를 구현하고 , 정치로 백성을 바르게 한다 . 이렇게 함으로써 정치가 성취되고 백성들은 이에 순종한다 . 이것이 바뀌면 혼란이 발생한다 . 올바른 인연을 비 妃 라 하고 잘못된 짝을 구 仇 라 하는데 이것이 고대로부터의 이름지음이다 . 지금 군주는 태자를 구 仇 라 이름짓고 , 동생을 성사 成師 라 하였으니 혼란의 조짐이 시작되었다 . 형이 쇠퇴해지지 않겠는가 ? ” 노 혜공 24 년 , 진나라에 분란이 시작되었는데 환숙 桓叔 을 곡옥 曲沃 에 봉건했기 때문이다 . 정후 靖侯 의 서손 난빈 欒賓 이 그를 보좌했다 . 사복이 말했다 . “내가 듣건대 나라의 존립은 뿌리가 크고 말단이 작아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 그러므로 천자는 제후를 봉건하고 , 제후는 경대부를 세우며 경은 측실 ( 側室 : 장자를 제외한 아들 중 하나를 세운다 ) 을 두고 , 대부는 이종 ( 貳宗 : 종실 자제 중 하나를 세운다 ) 을 두며 , 사는 자신의 자제들로 하여금 보좌하게 하며 , 서인 , 공인 , 그리고 상인들은 각각 친소를 나누어 모두 등차가 있게 한다 . 이렇게 하면 백성들은 윗사람을 섬기며 아랫사람은 분수에 넘치는 일을 바라지 않게 된다 . 지금 진나라는 왕실의 기내에 있는 제후인데 , 또 나라를 봉건하여 이미 본가가 쇠약해졌으니 오래 지속될 수 있겠는가 ? ” 노 혜공 30 년 , 진의 반보 潘父 가 소후를 시해하고 환숙을 옹립하려 했지만 실패하였다 . 진나라는 효후를 세웠다 . 혜공 45 년 , 곡옥 장백이 익 翼 ( 산서성 익성현 동남쪽 .

2.2.7. 음지飮至와 책훈策勳

이미지
본문 겨울 , 환공이 당 唐 에서 돌아와 음지를 거행하고 종묘에 보고했다 . 범례에 따르면 군주가 출행할 때 종묘에 보고한다 . 행차에서 돌아오면 종묘에서 연회를 베풀고 , 군신간 술을 나누며 , 간책에 공적을 기록을 하는 것이 예이다 . 양자 회합의 경우 , 노나라 군주가 타국으로 가거나 타국 군주가 올 때 모두 회합 장소를 밝히고 주관자가 되기를 양보한다 . 셋 이상의 군주가 회합할 때 , 노나라 군주가 타국에 행차하면 회합 장소를 밝히고 , 타국의 군주들이 노나라로 올 때는 회합만 기록하며 회맹의 주관자가 있다 . 2.2.7.  冬 , 公至自 唐 , 告于廟也 .  凡公行 , 告于宗廟 ; 反行 , 飮至 · 舍爵 · 策勳 焉 , 禮也 . 特相會 , 往來稱地 , 讓事也 . 自參以上 , 則往稱地 , 來稱會 , 成事也 . 해설 ▣ 冬 , 公至自 唐 , 告于廟也 : 여기서 처음으로 “ 至 ” 를 쓰고 있다 . 그래서 그 연유를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다 . 환공 16 년 다시 최초로 “정나라 공격에서 돌아왔다 ( 至自伐 鄭 ) ”라는 문구를 쓰고 , 그 뜻을 “음지의 예를 거행했다 ( 以飮至之禮也 ) ”로 확대한다 .  공영달의 『소』는 『석례』를 인용하여  『춘추』전체를 통해 ,  “결맹이 모두  105 차례 있었고 ,  군주가 직접 행차한 것이  176 차례이다 .  군주가 직접 행차한 맹약 중 기록한 것이  82 건이고 ,  기록하지 않은 것이  94 건인데 이 경우 모두 종묘에 보고하지 않은 것이다 . ” 그러므로 기록한 맹약은 모두 종묘에 보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 凡公行 , 告于宗廟 ; 反行 , 飲至 · 舍爵 · 策勳焉 , 禮也 : 『좌전』과 『예기·증자문』을 근거로 하면 , 제후가 천자를 조근하거나 , 타국의 제후와 상견하거나 , 제후끼리 결맹하거나 , 혹은 군사를 거느리고 출정할 때 , 일에 앞서 직접 부친의 사당에 제사를 드리고 보고한다 . 혹은 조부의 사당에 함께 보고하기도 한다 . 그리고 다른 사당에 대해서는 축사 祝史 를 보내

2.2.6. 융戎 - 당唐의 동맹

이미지
본문 환공이 융 戎 과 당 唐 ( 산동성 산동성 어대현 魚臺縣 동북쪽 무당정 武唐亭 ) 에서 결맹하여 이전의 우호를 계승했다 . 2.2.6.  公及 戎 盟于 唐 , 修舊好也 . 해설 ▣ 公及 戎 盟于 唐 , 修舊好也 : 은공 2 년에 융과 맹약을 맺은 적이 있었고 , 이제 다시 예전의 맹약을 갱신했다 . 춘추좌전 - 당唐

2.2.5. 기杞나라

이미지
본문 9 월 기 杞 나라로 쳐들어갔는데 기 무공의 불경을 토벌한 것이다 . ( ☞ 2.2.3) 2.2.5.  九月 , 入 杞 , 討不敬也 . 해설 ▣ 九月 , 入 杞 , 討不敬也 : 『좌전·희공 27 년』의 “봄 기나라 환공이 내조했는데 , 이족의 예 夷禮 를 사용했기 때문에 ‘ 자 子 ’ 라고 썼다 . 희공은 기나라를 무시했고 기나라는 불경스러웠다 . ” 또 “가을 , 기나라로 쳐들어갔는데 그 무례함을 책망한 것이었다 . ” 등의 기사는 이 기사와 같은 일이다 . 춘추좌전 지도 - 기杞나라

2.2.4. 채蔡나라 - 등鄧회합

이미지
본문 채 환공과 정 장공이 등 鄧 ( 하남성 언성현 郾城縣 . 채나라 ) 에서 회합했는데 , 처음으로 초나라를 걱정한 것이다 . 2.2.4.  蔡侯 · 鄭伯 會于 鄧 , 始懼 楚 也 . 해설 등 鄧 은 채나라의 지명이다 . 『좌전·소공 13 년』의 “채나라의 조오가 채나라 군주를 수행하고 , 자간과 자석을 불러 등에서 결맹했다 ( 蔡朝吳 奉 蔡公 , 召 子干 · 子晳 盟于 鄧 ) ”의 “등 鄧 ”과 같은 곳이다 . 등은 채나라의 북쪽 , 정나라의 남쪽에 해당한다 . 『일통지』에 따르면 하남성 언성현 郾城縣 동남쪽 35 리 떨어진 곳으로서 즉 결하시 潔河市 동남쪽 10 여리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등성이 바로 그 곳이다 . 강영의 『고실』을 참고하라 .  춘추좌전 지도 - 등鄧 ▣ 蔡侯 · 鄭伯 · 會于 鄧 , 始懼 楚 也 : 이해는 초 무왕 31 년에 해당한다 . 중원의 여러 나라가 초나라를 두려워하게 된 것은 이때부터다 . 초나라는 형 荊 이 라고도 한다 . 자세한 내용은 『춘추·장공 10 년』의 주석을 참조하라 . 초나라의 처음 국도는 단양 丹陽 인데 , 『사기·초세가』의 『집해』와 『정의』에 근거하면 현재의 호북성 지강현 枝江縣 이고 , 『수경주』에선 현재의 자귀현 秭歸縣 일대라고 하지만 신뢰하긴 어렵다 . 무왕 때 수도를 영 郢 으로 옮겼는데 현재의 강릉현 江陵縣 의 북쪽 10 여 리 떨어진 곳에 기남성 紀南城 이 있다 . 정공 6 년 초나라 소왕은 오나라의 위세를 두려워하여 약 鄀 으로 천도했다가 다시 영으로 돌아왔다 . 이런 사실은 『초왕염장종 楚王 酓章鐘 』의 명문으로 확인할 수 있다 . 무왕 19 년에 초나라는 춘추 시대에 접어들었다 . 초왕 부추 負芻 5 년 진 秦 나라에게 멸망당했다 . 전해지는 초나라의 이기는 그 수량이 매우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