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 북융北戎

본문

북융北戎이 정나라를 침략했다. 정 장공이 이를 방어하며 융의 군대를 걱정하여 말하였다. “저들은 보병이고, 우리는 전차 부대이다. 그들이 갑자기 배후에 나타나 공격할까 두렵다.” 

공자돌公子突이 말했다. “용감하나 후퇴를 수치로 여기지 않는 병사에게 적을 탐색한 후 재빨리 후퇴하게 합니다. 군주께선 세 곳에 매복을 지시하고 기다리십시오. 적은 경솔하고 무질서하며 탐욕스럽고 친밀함이 없습니다. 승리는 양보하지 않으나 패색이 보이면 서로 구제하지 않습니다. 선봉이 적을 잡는 것을 보면 필시 돌진할 것이나 진격하다가 매복을 만나면 필경 재빨리 도망칠 것입니다. 뒤를 따르는 군사가 이를 구원하지 않을 것이므로 선봉에 지원이 없는 셈입니다. 이리하면 걱정을 더실 수 있을 것입니다.” 장공은 그의 말을 따랐다

융의 선봉으로 매복과 마주친 병사들이 도망쳤고, 축담祝聃이 뒤쫓아 융의 중앙을 돌파하며 앞뒤로 공격하여 전멸시켰다. 융의 군사는 모두 도망쳤다. 11월 갑인일(11월엔 갑일인이 없다)에 정나라는 융의 군대를 크게 물리쳤다.


1.9.6. 北戎. 鄭伯禦之, , : 彼徒我車, 懼其侵軼我也.公子突: 使勇而無剛者, 嘗寇而速去之. 君爲三覆以待之. 戎輕而不整, 貪而無親; 勝不相讓, 敗不相救. 先者見獲, 必務進; 進而遇覆, 必速奔. 後者不救, 則無繼矣. 乃可以逞.從之人之前遇覆者奔, 祝聃逐之, , 前後擊之, . 師大奔. 十一月甲寅, 人大敗.


해설

北戎: 북융北戎은 장공 28년의 기사에 언급된 대융과 소융(현재 산서성 교성현交城縣 있던), 혹은 성공 원년에 보이는 모융茅戎(현재 산서성 평륙현平陸縣 소재하던)으로 생각된다. 이들 융적들은 정나라와 멀리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침범할 수 있었다. 만약 산융(현재 하북성 노용현盧龍縣 일대)이라면 정나라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옳지 않은 듯하다. 강영의 『춘추지리고실』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


춘추좌전 지도 - 북융北戎, 대융, 모융


鄭伯禦之, , : 彼徒我車, 懼其侵軼我也.: 는 보병이다. 는 전차병이다. 『회남자·람명훈覽冥訓』의 고유의 주석: “뒤에서 앞지르는 것을 일이라 한다.” 침일侵軼은 한 단어로서 돌연히 뒤에서 달려나와 공격함의 뜻이다.

公子突: 使勇而無剛者, 嘗寇而速去之: 공자돌 후대의 정나라 여공厲公이다. 뜻으로 시험삼아 탐색하다. 은 적진으로 갈 수 쳐들어갈 수 있고, 무강無剛이란 후퇴하는 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음이다. 즉 적군을 유인하는 병사이다.

君爲三覆以待之: 매복군이다. 복병을 세 곳에 분산시켰기 때문에 삼복으로 썼다.

戎輕而不整, 貪而無親; 勝不相讓, 敗不相救: 경솔하고 무질서하며 탐욕스럽고 단결하지 않기 때문에 전쟁에 승리하면 서로 이익을 다퉈 보호하지 않고, 전쟁에 지면 삶을 구걸하여 서로 구원하지 않는다.

先者見獲, 必務進; 進而遇覆, 必速奔: 선두에 선 병사들은 포로로 잡을 만한 대상이 보이면 그저 한 마음으로 앞다투어 전진하고; 전진하다가 복병을 만나면 필시 그냥 내뺀다.

後者不救, 則無繼矣: 뒤의 군사들은 선봉대가 복병을 만나면 구원해 줄 생각없이 도망가기 바쁘므로 선봉대는 뒤에 원군이 없다.

乃可以逞.: 두예의 주석에 따르면, “풀다”의 뜻이다. 즉 걱정거리를 해소했다는 의미이다. 초순焦循『좌전보소左傳補疏』에 근거했다. 영을 흔쾌하게快意 뜻으로 해석해도 또한 통한다.

人之前遇覆者奔, 祝聃逐之: 축담祝聃 정나라 대부로서 복병을 통솔한 이로 생각된다.

: 가차로 보인다. 가운데를 돌파하다의 뜻이다. 이는 세 곳에 숨어 있는 매복병이 갑자기 들고 일어나 융을 여러 부분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홍이훤의 『경의총록』은 충을 상대함()으로 해석했으나 따르지 않는다.

前後擊之, : 음은 예 같다. 진에 전멸시키다.

戎師大奔: 융의 선봉대는 매복군을 만나 전멸되고, 후군은 선봉대를 구원하지 않고 도망갔다.

十一月甲寅: 11월엔 갑인일이 없다.

人大敗: 매복을 만난 선봉대는 전멸시키고, 도망친 후군 역시 크게 물리쳤기 때문에 융의 군사를 크게 물리쳤다라고 총괄하여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