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멸친大義滅親

본문

주우가 여전히 민심을 얻지 못하자 석후는 부친 석자石子(석작)에게 군주의 지위를 안정시킬 방도를 물었다. 석자가 말했다. “왕을 알현하면 안정될 것이다.” “어떻게 하면 알현할 수 있을까요?” “바야흐로 진 환공이 왕의 총애를 받고 있다. 우리와 진나라의 관계도 개선되고 있으니 만약 주우가 진나라를 예방하여 그를 통해 청탁하면 필시 뜻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석후가 주우를 시종하여 진나라로 갔다

석작이 진나라에 사자를 보내 고했다. “위나라는 소국이고 노부는 늙어 무능합니다. 저 두 사람은 실로 과군을 시해한 자들이니 이 기회에 그들을 도모하여 주십시오.” 진나라가 두 사람을 사로잡고 그들을 처리할 때 위나라 사람이 참석하게 했다. 9, 위나라는 진나라가 복(안휘성 박현 동남쪽, 나라)에서 주우를 죽일 때 우재추醜右宰를 파견해 참석하게 했다. 석작은 진에서 아들 석후를 죽일 때, 가신 누양견을 보내 참석하게 했다

군자는 말한다. “석작은 진실된 신하이다. 주우를 증오하여 후를 그와 함께 죽였다. ‘대의멸친’이란 아마도 이를 두고 한 말일 것이다.


1.4.5. 州吁未能和其民, 問定君於石子. 石子: 王覲爲可.: 何以得覲?: 陳桓公方有寵於王. ·方睦, 若朝使請, 必可得也.州吁. 石碏使告于: 國褊小, 老夫耄矣, 無能爲也. 此二人者, 弒(1)寡君, 敢卽圖之.陳人執之, 而請涖于. 九月, 人使右宰醜涖殺州吁. 石碏使其宰羊肩涖殺石厚

君子曰: 石碏, 純臣也. 州吁與焉. 大義滅親, 其是之謂乎!


(1) 각 본에는 “살”로 쓰고 있다. 여기서는 『당석경』과 송 본을 따라 글자를 고쳤다.


해설

州吁未能和其民: 앞에서 노나라의 대부 중중이 은공의 질문에 대해 “신은 덕으로 백성들을 안정시킨다는 말은 들었다(以德和民)”라고 대답했었다. 본문의 “화민”은 이를 이어주고 있다

問定君於石子: 석후石厚이며 주우와 친한 무리이고 석작의 아들이다. 『좌전·은공3년』의 “석작의 아들 후가 주와 함께 어울렸다”는 언급이 이를 말한다정군定君이란 군주의 지위를 안정시키다. 주우는 아직까지 백성들을 안정시키지 못하여 그 지위가 안정되지 못했다. 석후가 그의 부친에게 조언을 구한 것이다. 석자는 곧 석작이다

石子: 王覲爲可.: 제후가 천자를 조견하는 것을 이라 한다. 왕근王覲은 근왕覲王과 같다. 이런 어법은 『공자가어』의 편명인 「교문郊問」과 같다. “교 대해서 묻다”는 뜻이다. 또 『초사』에도 「천문天問」이란 편명이 있는데 이것은 하늘에 묻다는 뜻이다. 석작은 만약 주왕을 조견할 수 있다면 지위의 합법(천자의 동의)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 何以得覲?: 陳桓公方有寵於王: 당시 진 환공은 사망 전이므로 시호를 쓰는 것은 마땅치 않다. 이는 『좌전』작자의 드문 필법이라 할 수 있다. 『좌전』에서 이런 경우는 여기 한 곳뿐이고 『사기』의 경우는 상당히 많다.

·方睦, 若朝使請: 음은 조이다. 제후가 천자를 조견하는 것을 조 하고 제후끼리의 만남 역시 조라 한다.

必可得也.州吁: 동사이며 가다의 뜻.

石碏使告于: 國褊小: 의 음은 폄이고, 작다의 뜻이다. 편소褊小 당시의 상용어이다. 『맹자·양혜왕상』에서 제 선왕 역시 “제나라가 비록 협소하나(齊國褊小)”라는 말을 하고 있다.

老夫耄矣: 『예기·곡례』에 따르면 대부가 70세를 넘으면 노부老夫라고 자칭한다. 「곡례」의 정현의 주석: “모는 정신이 흐리다는 뜻이다.

無能爲也. 此二人者, 寡君, 敢卽圖之: “시”자를 각본에선 “살”로 쓰고 있지만 여기서는 『당석경』과 송 본을 따라 “시”로 고쳤다. 감히 청컨대의 의미. 은 취, 즉 이 기회를 잡다.

人執之, 而請涖于: 음은 리 혹은 류이며 오다/임하다()의 뜻. 즉 진나라는 그들을 잡아놓고서 위나라에서 직접 와서 주살할 것을 요청했다.

九月, 人使右宰醜涖殺州吁: 우재右宰 위나라의 관명인데, 관명을 씨로 삼은 어떤 사람이다. 『좌전·양공14년』에 우재곡이란 인물이 보인다. 인명이며 복 지명이다. 『춘추』의 주석을 참조하라. 『사기·위세가』의 기록은 약간 다르다.

石碏使其宰羊肩涖殺石厚: 는 노 반절이다. 고대 경대부에겐 가신이 있었고, 가신 중 우두머리를 라 한다.

君子曰: 石碏, 純臣也: 본문과 『좌전·은공원년』의 “영고숙은 진실한 효자이다(潁考叔, 純孝也).”의 구법은 같다. 여기서 신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바로 『국어·진어』의 “군주를 섬김에 있어 두 마음이 없는 사람을 신이라 한다”는 말이 이에 해당한다.

州吁與焉: 음은 예이고 함께 살륙되었다는 뜻.

▣‘大義滅親: 이는 고어古語이다.

其是之謂乎!: 주석 없음.


관련 기사

공자주우의 반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