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714년) 1.9.1. 장마霖

본문

은공 9년 봄 왕력 3월 계유일(10), 며칠간 큰 비가 내리고 천둥이 쳤다. 『춘추』는 비가 내리기 시작한 날을 적었다. 경진일(17)에 큰 눈이 내렸다. 역시 내리기 시작한 날을 적었다. 『춘추』에 기록한 까닭은 이런 현상들이 절기를 잃었기 때문이다. 비에 관한 범례에 따르면, 사흘 이상 내리는 것을 장마()라 하고, 평지에 한 척 이상 쌓이는 것을 대설이라 한다.


1.9.1. 九年春王三月癸酉, 大雨霖以震, 書始也. 庚辰, 大雨雪, 亦如之. , 時失也. 凡雨, 自三日以往爲霖, 平地尺爲大雪.


해설

九年春王三月癸酉, 大雨霖以震, 書始也: 大雨霖以震”가 한 구이다. 연사로서 여 뜻이다. 『상서·금등』의 “천둥 번개와 큰 바람이 일었다(天大雷電以風)”는 문구가 이와 똑 같은 구법이다. 장림臧琳의 『경의잡기經義雜記』에선 “大雨霖”과 “以震書始也”를 각각 하나의 구로 보았는데, 옳지 않다. 書始也”는 두예의 주석에 근거하면 계유일이 큰 비가 시작된 날이다. 장마는 오랫동안 비를 내리고 하루에 그치지 않는다. 『춘추』에서 “大雨, 震電”로 쓰고 『좌전』에선 “大雨霖以震”으로 쓴 것은 문장은 차이가 있지만 의미는 같다. 소위 두예가 말하는 착종성사錯綜成辭(경문을 종합하여 그 변화를 자세히 설명한다)이다. 두예의 주석과 공영달의 『소』에선 『춘추』의 문장에 “霖以, 두 글자가 탈락된 것이며, “전”자는 후인이 임의로 덧붙인 글자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곡량』과 『공양』그리고 『한서·오행지』를 보면, 모두 “大雨震電”으로 쓰여 있다. 모두 오류는 없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장수의『경의잡기』와 홍이훤頤煊 『독서총록讀書叢錄』에 보인다.

庚辰, 大雨雪, 亦如之: 亦如之”는 대설이 하루에 그친 것이 아니라 경진일에 시작한 것이고, 위의 문구처럼 큰 눈이 시작된 일자를 기록한 것과 같다.

, 時失也: 『춘추』에서 이 사건을 기록한 이유는 당시 왕력 3월은 하나라 역법으로 정월에 해당한다고 오인하여 천둥과 번개가 있을 때가 아니며; 천둥 번개가 있었는데 큰 눈이 온 것 역시 일상적인 일이 아니다. 천둥 번개가 치고 8일이 지나 다시 큰 눈이 온 것은 모두 절기가 정상을 잃은 것이다. 그래서 올바른 절기를 잃었다라고 쓴 것이다. 『한서·오행지』의 “유향은 주력 3월은 현재의 정월이라고 여겼다. 비가 오고, 진눈깨비가 날리면 천둥 번개는 올 수 없다. 이미 천둥 번개가 쳤다면 눈이 다시 내리지 않아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절기의 올바름을 잃은 것이기 때문에 이상현상이라고 말한 것이다”라는 기사를 보면 충분히 이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다.

凡雨, 自三日以往爲霖: 이하는 『좌전』의 “림”자를 해석한 것이다. 두예는 『춘추』의 문장을 해석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옳지 않다. (두예: “이 문구는 경문에 기록된 ‘’자를 해석한 것인데, 현재 경문에 이 글자가 없는 까닭은 경문에 누락된 것이 있다.”역자)

平地尺爲大雪: 이는 『춘추』와 『좌전』의 “大雨雪”을 풀이한 것이다. 평지에 내린 눈의 깊이가 한 척은 되어야 비로소 대설이라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