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산전쟁, 진과 강융姜戎의 대승 (춘추좌전.5.33.3.)
효산전투
진晉의 원진原軫(선진)이 말했다. “진秦이 건숙蹇叔의 말을 거스르고 탐욕에 눈멀어 백성을 수고롭게 하니 하늘이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하늘이 돕고 있는데 이 기회를 놓칠 수 없고 적을 방임해서는 안 됩니다. 적을 내버려두면 우환이 일어나고, 하늘을 어기는 일은 상서롭지 않습니다. 반드시 진군을 정벌해야 합니다!” 난지가 말했다. “아직 진의 은혜에 다 보답하지 않았는데 진군을 정벌한다면 어찌 선군을 배려한 일이겠습니까?”
선진이 말했다. “진은 우리 국상을 애도하지 않고 우리와 동성의 나라를 정벌했으니 진이 예가 없습니다. 은혜가 무슨 상관입니까? 저는 ‘순간의 방심이 몇 대의 근심거리다.’라고 들었습니다. 후손을 고려하면 선군께서도 납득하실 것입니다!”
그래서 진 양공은 명을 내리고, 강융姜戎에 파발을 보내 군사를 내게 하였다. 양공은 검게 물들인 상복과 띠를 입고 양홍梁弘을 어융으로 삼았고 래구萊駒를 융우로 삼았다.
여름 4월 신사일(13일), 진나라는 효殽에서 진秦군을 격퇴하고 백리맹명시百里孟明視와 서걸술西乞術 그리고 백을병白乙丙을 사로잡아 귀국했다. 이어 검은 상복을 입고 문공의 장례를 치렀는데 진나라는 이때부터 검은색의 상복을 상례로 정하게 되었다.
문영文嬴(진秦 출신의 문공의 부인)이 세 장수에 대해 양공에게 청했다. “저들은 실로 양국의 군주를 이간질한 자들이니 진秦의 군주가 씹어 먹어도 시원치 않을 판에 무엇 때문에 군주께서 욕보려 하십니까? 저들을 돌려보내 진秦에서 죽임을 당하게 하여 진군秦君을 기쁘게 하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양공이 문영의 청탁을 수용했다.
선진이 입조하여 포로에 대해 물었다. “부인께서 청하시어 과인이 돌려보냈소.”
선진이 분노하며 말했다. “장수가 힘들여 전쟁터에서 사로잡은 포로를 여인이 기만하여 사면해 돌려보내면 전쟁의 공적을 훼손하고 적의 사기만 올려주게 됩니다. 나라가 망할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그는 고개를 돌리지도 않고 양공의 면전에서 침을 내뱉었다. 양공이 양처보를 시켜 세 장수의 뒤를 추격했는데 황하에 도착했을 때 이미 그들은 배를 탄 상태였다. 양처보는 맨 왼쪽 말을 풀어 군명으로 맹명에게 말을 예물로 하사하겠다고 전했다. 맹명은 머리를 조아린 후 대답했다. “군주께서 은혜를 베푸시어, 신을 죽여 그 피를 북에 바르지 않고 돌려보내어 진에서 처벌받게 하셨습니다. 과군이 이를 수치로 여겨 저를 죽인다 해도 군주의 은혜는 영원할 것입니다. 만약 과군이 군주께서 베푸신 은혜를 좇아 저의 죄를 용서해 주신다면 3년 안에 군사를 이끌고 와서 군주의 은혜에 보답하겠습니다.”
진 목공이 소복 차림으로 교외에서 머물다 세 장수를 보고 울며 말하였다. “과인이 건숙의 말을 어겨 그대들을 욕보였으니 이는 과인의 잘못이다.” 맹명의 지위를 폐하지 않고 말하였다. “과인으로 인한 재앙이다. 대부가 무슨 죄가 있는가? 과인은 한 번의 잘못으로 그대의 큰 공적을 가리지 않을 것이다.”
원문
(5.33.3.) 晉原軫曰: “秦違蹇叔, 而以貪勤民,天奉我也. 奉不可失,敵不可縱. 縱敵, 患生; 違天, 不祥. 必伐秦師!” 欒枝曰: “未報秦施, 而伐其師,其爲死君乎?” 先軫曰: “秦不哀吾喪,而伐吾同姓,秦則無禮,何施之爲? 吾聞之: ‘一日縱敵,數世之患也.’ 謀及子孫,可謂死君乎!” 遂發命,遽興姜戎. 子墨衰絰,梁弘御戎,萊駒爲右.
夏四月辛巳,敗秦師于殽,獲百里孟明視·西乞術·白乙丙以歸. 遂墨以葬文公,晉於是始墨.
文嬴請三帥,曰: “彼實構吾二君,寡君若得而食之,不厭,君何辱討焉? 使歸就戮于秦,以逞寡君之志,若何?” 公許之. 先軫朝,問秦囚. 公曰: “夫人請之,吾舍之矣.” 先軫怒曰: “武夫力而拘諸原,婦人暫而免諸國,墮軍實而長寇讎,亡無日矣.” 不顧而唾. 公使陽處父追之,及諸河,則在舟中矣. 釋左驂,以公命贈孟明. 孟明稽首曰: “君之惠,不以纍臣釁鼓,使歸就戮于秦,寡君之以爲戮,死且不朽. 若從君惠而免之,三年將拜君賜.”
秦伯素服郊次,鄉師而哭, 曰: “孤違蹇叔,以辱二三子,孤之罪也.” 不替孟明, 曰[1]: “孤之過也,大夫何罪? 且吾不以一眚掩大德.”
관련 주석
▣晉原軫曰: “秦違蹇叔, 而以貪勤民,天奉我也: 두예는 “봉奉은 허락함與의 뜻”이라고 풀이하고, 양리승의 『보석』과 유문기의 『소증』은 모두 “봉은 조助의 뜻”이라고 풀이한다. 역시
통한다.
▣奉不可失,敵不可縱. 縱敵, 患生; 違天, 不祥: 하늘이 허락한 기회 혹은 도움을 취하지
않으면 하늘의 뜻을 어기는 것이라는 의미.
▣必伐秦師!” 欒枝曰: “未報秦施, 而伐其師,其爲死君乎?”: 사군은
진 문공. 혜동의 『보주』는 “군이 빈소에 있으므로 사군이라 칭했다.”고 설명한다. 위爲는 有의 뜻이다. 『역·쾌夬·初九』의 “앞발꿈치가 씩씩하다. 가서
승리하지 못하면 허물이 있다(壯于前趾, 往不勝, 爲咎).”의 “위”를 유월은 『평의』에서 “유”라고 해석했는데 옳다. 『맹자』는
爲를 다수 “有”의 의미로 쓴다. 「등문공상」의
“등나라는 영토가 협소하나 군자도 있고 야인도 있다(夫滕, 壤地褊小, 將爲君子焉, 將爲野人焉)”에서 군자도 있고, 야인도 있다는 뜻이다. 「진심하」의 “(산비탈의 작은 길이라도) 잠시라도 오고가지 않으면(爲間不用)”은 길이 쓰이지 않고 잠시라도 버려둠이 있다면(有間不用)의 뜻이다. 난지는 문공이 진나라의 도움을 얻었던 사실을 얘기하고
있다. 그 은헤를 갚지도 못했는데 도리어 정벌하는 일은 그 마음 속에 돌아가신 문공에 대한 배려심이
없다는 의미이다. 이전 학자들은 “위”자의 뜻에 명확하지 않았다. 고염무의
『보정』과 왕인지의 『술문』에선 모두 여기 “사”자를 동사로 인식했다. 그래서 “사군이란 선군을 망각하는
것”으로 풀이하여 “위”자를 어디에 놓아야 할지 몰랐다. 그러므로 신뢰하기 어렵다. 기其는 기豈의 용법으로 쓰였다.
▣先軫曰: “秦不哀吾喪,而伐吾同姓: 활은 진과 동성의 나라이다.
▣秦則無禮,何施之爲?: (이처럼 무례한데) 은혜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뜻. 「진세가」는 “진이 우리를
모욕하고 동성의 나라를 정벌하니 무슨 갚을 덕이 있는가(何德之報)?”라고 적고 있어 뜻이 같다. 왕념손은 “何施之有”라고 풀이한다. 『석사』의 “爲” 조항에 보인다.
▣吾聞之: ‘一日縱敵,數世之患也.’ 謀及子孫,可謂死君乎!”: 즉
진을 정벌하는 일은 자손을 위한 일이므로 선군에게 변명할 수 있다는 의미.
▣遂發命: 군사를 출동시키라는 명령
▣遽興姜戎: 『국어·주어상』에서 주 선왕 39년
천무千畝의 싸움에서 왕의 군대가 강씨의 융에게 패했다고 말하고 있는데 바로 이 강융이다. 강융은 여러 곳에 거처했음을 알 수 있는데 혹은 주 왕실 부근에서 혹은 진나라 북쪽에도 거주하고 있었다. 본문의 강융은 진의 남쪽에 거주하던 강씨지융이다. 천무와 『좌전·환공2년』의 “(以千畝之戰生)”에 언급된 천무는 별개의 지명으로 환공2년의 주석을 참조하라. 뇌학기는 『죽서기년의증』권26에서 이 천무를 동일한 지역으로 보았지만
이것은 잘못이다.
춘추좌전 지도 - 효산전쟁 |
▣子墨衰絰: 자子는 진 양공이다. 부친 문공의 장례를 아직 마치지 않았기 때문에 “子”라고 칭했다. 최衰의 음은 최崔이다. 최縗로 쓰기도 한다. 상복이며 삼베로 만든다. 고대에는 참최斬衰와 자최齊衰의 구별이 있었다. 참최는 극히 거친 베로 만든 옷으로 옆과 아래 모두 재봉을 하지 않는다. “齊衰”의 제齊의 소리는 자咨로서 자최는 삶은 베로 옷을 만든다. 제齊의 뜻은 집緝이다. 옷의 테두리를 박음질한다는 뜻이기에 자최라고 부른다. 질絰의 음은 질垤이다. 머리에 묶는 것을 수질首絰이라 하고 허리에 메는 것은 요질腰絰이라 하는데 모두 마로 만든다. 역시 상복이다. 양공은 이 당시 상중에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상복을 입었고 상복은 흰색이어야 하는데 군사에 어울리는 색이 아니었기
때문에 비록 삼베로 만든 상복이긴 하나 검게 물들게 하였다. 흑색은 전투복에 어울리는 색이다. 墨衰絰는 상복衰과 띠絰를 검게 물들인 것이다.
▣梁弘御戎: 『좌전·환공3년』에도
진의 양홍이 언급되지만 이때와는 83년의 차이가 있으므로 별개의 사람이다.
▣萊駒爲右: 『통지·씨족략』은 “래씨萊는 나라의 이름으로 씨를 삼았다. 진에는 대부 래구萊駒가 있었다.”고 쓴다. 양홍과 래구는 진 양공의 어융과 융우(거우)이다.
▣夏四月辛巳: 신사일은
13일이다.
▣敗秦師于殽: 이때 진의 군사는 귀환하는 중이었고 효산을
지날 때 공격한 것이다. 『여씨춘추·회과편』의 “진의 군사를 효에서 가로막고 공격하였다.”, 『공양』의 “효에서 잠복하였다가 공격하였다.”, 「진본기」의 “효에서 진의 군사를 기다리고 있다가 공격하였다.”
등의 기록이 이때의 일을 묘사하고 있다.
▣獲百里孟明視·西乞術·白乙丙以歸: 세 장수가 포로가 되었다. 진의 군사가 전멸한 것이다. 『공양』과 『곡량』에서 “필마 한 마리도 전차도 모두 살아 돌아간
것이 없었다(匹馬隻輪無反者).”(『곡량』에서 “척隻”자를 “의倚”로 쓴다), 「진본기」에선 “단 한 사람도 돌아가지 못했다.”라고 기록한 까닭이고
신뢰할 만한 전언이다. 『논형·유증편』에선 사실을 과장했다고 하지만 옳지 않다. 이 전투로 강융이 흥성해진 사실은 『좌전·양공14년』의 기사에 보인다.
▣遂墨以葬文公: 즉 검은 색 상복을 입은 채 문공의 장례를
치렀다는 말이다.
▣晉於是始墨: 진은 이후로 흑색의 상복과 띠를 착용하는
것을 상례로 삼았다. 『좌전·양공23년』의 “당시 진의 군주는 인척의 상중에 있었다. 악왕부는 범선자에게 검은 상복과 검은 띠를 두르게 하고”라는 기사로 입증할 수 있다. 심흠한의 『보주』는 “이후로 진은 상중에 있을 때 우연히 전쟁이나 회맹의 일이 발생할 경우 검은 색의 상복을
입고 업무에 임했다.”고 설명하지만, 심흠한이 흑색 상복을
군사나 혹은 맹회의 일에 한정시킨 것은 『좌전』의 의미는 아닌 것 같다.
▣文嬴請三帥: 문영은 진 문공의 부인이다. 진 목공이 출가시킨 여인으로 양공의 적모이다. 세 장수란 맹명과
서흘 그리고 백을병이다.
▣曰: “彼實構吾二君: 구構는 참언으로 두 사람 사이를 이간질한다는
뜻. 『좌전·환공16년』의”선강과 그의 아들 공자삭이 급자를 모함했다(宣姜與公子朔構急子)”의 “構”자는 뜻이 같다. 構吾二君은 『시·소아·청승靑蠅』의 “우리 두 사람 사이를 이간질하여(構我二人)”와 구법이 동일하다. 즉 진과 진 두 나라의 군주 관계를 이간질했다는
뜻.
▣寡君若得而食之,不厭: 불염은 부족함의 뜻. 그들의 인육을 먹어도 시원치 않다는 뜻으로 그들을 증오하는 마음이 매우 심함을 뜻함. 「진본기」는 “목공의 세 사람들에 대한 원한은 골수까지 차 있다.”고
기록하는데 글자는 달라도 뜻은 비슷하다. 『좌전·선공12년』의 주석을 참조하라.
▣君何辱討焉? 使歸就戮于秦,以逞寡君之志: 영逞은 쾌快의 뜻. 영지는
기쁘게하다(快意)와 같다.
▣若何?” 公許之. 先軫朝,問秦囚. 公曰: “夫人請之,吾舍之矣.” 先軫怒曰: “武夫力而拘諸原: 원原은 전쟁터이다. 즉 전쟁터에서 힘들게 잡은 포로들이라는 뜻.
▣婦人暫而免諸國: 장병린의 『독』은 “잠暫은 점漸을 가차한 글자이다. 『서·반경』의 ‘暫遇姦宄’에 대해 왕인지는 ‘잠暫은 점漸으로 읽어야 하고, 점은
속임詐欺의 뜻이다. 『장자·거협편』의 “知詐漸毒’과 『순자·불구편』의 “소인은 지혜가 있으면 남의 것을 빼앗고
도둑질하며 사기를 치고(小人知則攫盜而漸)’ 그리고 「의병편」의 “용사들을 모집하며, 권세와 속임수를
존중하고, 공로와 이익을 숭상하는 것은 바로 백성들을 속이는 일(招近募選·隆勢詐·尙功利, 是漸之也)’, 「정론편」의 “군주가 음험하면 아랫사람은 간사해질 것(上幽險則下漸詐矣)’ 이라는 문구 등에서 속임의 뜻으로 점漸을 썼다. 「여형」의 “백성들이 서로 속이며(民興胥漸)”에서 점 역시 속임의 뜻’이라고 설명한다. 문영의 말 역시
양공을 기만한 속임수이다.”라고 말한다. 오개생의 『문사견징』의
주장 역시 같다. 면免은 사면하여 석방함의 뜻이다.
▣墮軍實而長寇讎: 타墮는 훼손하고 버림. 군실은 포로를 가리킨다. 정사농은 『주례·천관·수인』의 주석에서 “귀를 베는 것(珥)에서 적의 왼쪽 귀를 베어 공적의 증거로 삼는다. 목을 치고
귀를 벤다. 그래서 『춘추전』은 ‘(귀를 베어) 군실軍實로 삼는다.”고 쓴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군실이란
포로의 머리와 귀를 가리킬 수 있다. 『좌전·은공5년』의
주석에 더 자세하다. 양수달 선생의 『적미거소학금석논총』에 「좌전군실해左傳軍實解」가 있는데 본문의 군실에 대해 “또한 진나라 군사들을 위한
말이기도 하다. 선진은 진의 군사를 희생시켜 포로를 사로잡았는데 이제 아무런 까닭없이 그들을 풀어주었기
때문에 더욱 화가 나서 분노하며 망할 날이 멀지 않았다고 말한 것이다.”라고 풀이하는데 역시 뜻이 통한다.
▣亡無日矣.” 不顧而唾: 고대의 예법에 윗사람 면전에서 가래를 뱉거나
코를 풀 수 없다. 『예기·내칙』의 “부모와 시부모 앞에서 감히 침을 뱉거나 코를 풀 수 없다(在父母舅姑之所不敢唾涕)”는 말이 바로 이를 말한다. 타唾는 가래를 내뱉는 것이고, 체涕는 코를 푸는 것이다. 선진은 조정에서 침을 뱉었을 뿐만 아니라 양공을 향해 얼굴을 돌리지도
않았으니 그 분노가 극에 달했음을 알 수 있다.
▣公使陽處父追之: 「진세가」는 “선진이 진나라 장수를 뒤쫓아갔다.”고 적는다.
▣及諸河,則在舟中矣. 釋左驂: 고대의 수레에는 네 필의 말이 묶여 있다. 좌우 양쪽의 말을 참驂이라 하고, 좌측의 말을 좌참이라 한다.
▣以公命贈孟明: 강가로 와서 명을 받게 하여 다시 사로잡을
생각이었다.
▣孟明稽首曰: “君之惠,不以纍臣釁鼓: 류纍는 포박함이다. 고대에 중요한 기물과 성을 신축했을 경우 반드시 희생을 잡아 그 피를
발랐는데 이를 “흔釁”이라 한다.
또 고대에는 포로를 잡아 그의 피를 북에 바르는 관습이 있었다. 『좌전·소공5년』의 “오왕이 그의 동생 궐유蹶由를 보내 측면에서 공격하게 했는데 초나라에 사로잡혔다. 초나라는 그를 죽여 그 피를 북에 바르려고
하였다(釁鼓).”는 기사로 입증할 수 있다.
그러나 본문에서 흔고는 살륙과 같은 뜻이고, 꼭 북에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의미하진 않는다. 『좌전·성공3년』에 지앵知罃이 초왕에게 말하길, “두 나라의 전쟁에 소신이 재능이 없어 승리하지 못하고, 포로가
되었으니 왕께서 흔고釁鼓하지 않고, 돌려보내
주셔서 죽임을 당하더라도 군주의 은혜입니다.”라고 말하는데 본문과 같다.
▣使歸就戮于秦,寡君之以爲戮: 이 문장은 가정법이다. 돌아가 죽더라도의 뜻.
▣死且不朽: “死且不朽”는 당시의 관용어이다. 『좌전』의
성공 3년, 16년, 소공
31년에도 보인다. 죽더라도 죽지 않는 것과 같다.
▣若從君惠而免之,三年將拜君賜.”: 맹명은
계략에 걸려들지 않았다(盟明不中計). 三年拜賜의 뜻은 삼년 안에 다시 이번 전투에 대해
복수를 하겠다는 의미. 문공 2년 팽아의 전투에서 진나라
사람들이 “拜賜之師”라고 말한 까닭이기도 하다.
▣秦伯素服郊次: 소복은 흉복이다. 『주례·대종백』과
그 주석에 따르면, 고대의 흉례에 나라의 근심으로 걱정하는 것이 다섯 가지가 있다. 죽음死亡, 흉년과 돌림병凶札, 재앙禍災, 전쟁의 패배圍敗 그리고 외침과
반란寇亂 등이 그것이다. 한
해의 일이 순조롭지 못하면 천자는 소복素服을 입고 소거素車를 타며 식사에 음악을 연주하지 않는다. 이것이 흉례의 복이다. 물이나 불로 인해 재해가 발생하면 군주와
신하들은 소복하고 고관稿冠하는데 이것이 화재 때의 복이다. 본문은
위패圍敗의 경우에 해당하는 복장이다. 고염무의 『일지록5』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 교차郊次는 『좌전·양공23년』의
“官次”와 같다. 거소는 모두
차次라 말할 수 있는데 상을 지내는 동안 머무는 곳(喪寢)을 차라 한다. 『의례·사상례』의 “상주들에게 절을 하고 차로
나아간다(主人入就次)”가 이를 뜻한다. 次는 부모의 상을 지내는 동안 머누는 곳(倚廬: 의려)를 말한다. 『여씨춘추·회과편』는
“진 목공이 이 사실을 전해 듣고 소복 차림으로 묘에 나아갔다.”고 말하여 『좌전』과는 다르다.
▣鄉師而哭: 향鄉은 지금의 향向과 같다.
여기서 향사를 보면 진이 석방한 이들은 세 장수에 그치지 않고 혹 다른 포로들도 장수들과 함께 왔는지도 모른다. 그것이 아니라면 『좌전』은 사師로써 세 장수를
가리킨 것일 수도 있다. 그래서 「진본기」에선 “세 장수가 도착하자 목공이 소복 차림으로 교외에 나가
맞이했는데 세 사람을 향해 통곡하며 말했다.”라고 적고 있다. 혹
효의 싸움에서 진나라 병사가 몰살당한 것이 아니라면 도망하여 귀환한 자들이 있을 수는 있다. 만약 이와
같다해도 그들이 꼭 맹명 등과 함께 귀환하지는 않았을 것이고 게다가 진 목공 역시 굳이 친히 맞이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曰: “孤違蹇叔,以辱二三子,孤之罪也.” 不替孟明, 曰: 체替는 폐함이다. 맹명을 그의 자리에서 폐하지 않았다는 것은 좌씨의 기사이다(즉 목공의
말이 아니라는 뜻). 각본에는 “曰”자가 없다. 왕념손은 『문선·서정부』의 주석과 『백첩白帖59』에 근거해서 “맹명 다음에 ‘曰’자가 있는데 현재의
본에는 탈락되어 있다. 앞에서 목공은 세 장수를 향해 통곡하고, 자신의
죄를 묻고 다른 사람의 죄는 묻지 않았다. 그래서 맹명을 폐하지 않고 다시 중용한 것이며 다시 그를
향해 자신의 과실이며 대부들에게 무슨 죄가 있는가라고 말했다. 여기 대부 두 글자는 오로지 맹명만을
가리킨 말이다. 앞의 세 사람을 통틀어 二三子라고 언급한 것과는
다르다.”라고 설명한다. 왕인지의 『술문』에 자세하다. 왕인지의 주장이 매우 옳다. 금택문고본과 돈황 육조시대 사본의 잔권에도
모두 “왈”자가 있다. 이에 근거하여 정정한다.
▣“孤之過也,大夫何罪? 且吾不以一眚掩大德.”: 생眚의 음은 생省이고 과실의 뜻이다. 『상서·진서서秦誓序』에 “진 목공이 정나라를 정벌했을 때, 진의 양공이 군사를 이끌고 효에서 격퇴했다. 목공은 전쟁에서 돌아와 「진서」를 지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후대인들은 이 「진서」를 이 당시의 저작이라고 여겼지만, 「진서」의
본문 내용은 『서서』의 내용과는 같지 않다. 이 때의 일은 『여씨춘추·회과편』에도 기재되어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