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 화우華耦 (춘추좌전.6.15.2)

3, 송나라의 화우華耦가 우리나라로 와서 결맹할 때 그의 모든 관속들이 수행했다. 『춘추』에 “송 사마 화손”으로 쓴 것은 그의 행동을 귀하게 여긴 것이다. 문공이 그에게 연회를 베풀었다. 화우가 사양하며 말했다. “군주의 선신 독이 송 상공께 죄를 지었고, 그 이름이 제후들의 간책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 2.2.1.) 신은 그의 제사를 받들고 있으니 감히 군주를 욕보일 수 있겠습니까? 아려亞旅가 주관하는 연회를 청합니다.” 노나라 사람들은 그를 명민하다고 여겼다.


원문

三月宋華耦來盟其官皆從之. 書曰司馬華孫, 貴之也.

公與之宴. 辭曰: 君之先臣得罪於宋殤公名在諸侯之策. 臣承其祀其敢辱君? 請承命於亞旅.人以爲敏.


관련 주석

三月司馬華孫來盟: 화손華孫의 이름은 우이다. 『좌전』에서 그를 “화우”라고 호칭한 까닭이다. “화손”으로 쓴 것은 예를 들면 『좌전·양공14년』의 후성숙厚成叔 씨로 삼아 “후손厚孫”이라고 부른 것과 같다. 다른 나라의 대부가 노나라에 와서 결맹한 일은 모두 4차례이다. 환공 4년의 “정나라 군주가 아우 어를 보내어 결맹했다.”와 선공 7년의 “위나라 군주가 손량부를 보내 결맹했다.” 등에서 『춘추』는 모두 “사使”자를 썼는데, 다른 두 곳, 즉 민공 2년의 “제나라 고자가 와서 결맹했다.”는 기사와 본문에선 “사”자를 쓰지 않았다. 쓰고 쓰지 않은 것에 어떤 특별한 예가 있는 것은 아니다. “사”를 쓰지 않았어도 군주가 그를 보낸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민공 2년 제의 고자가 환공의 명으로 온 것임은 「제어」의 내용을 근거로 볼 때 충분히 알 수 있다. 또 희공 4년 “초의 굴완이 와서 군중에서 결맹했다”는 기사에 대해 『좌전』은 분명히 “초왕이 굴완을 군중으로 보냈다”고 쓰고 있다. 즉 이 역시 초 성왕이 보낸 것이다. 그럼에도 경문에서는 단지 “來盟”이라고만 쓰고 “사”를 쓰지 않았다. 이런 사실로 볼 때 화우가 온 까닭 역시 필시 송 소공이 그를 보낸 것이다. 후대 학자들이 “사”를 쓰지 않은 것에 대해 많은 억측을 하고 있는데 깊이 논할 바가 없다.

 

三月宋華耦來盟其官皆從之: 빙문과 결맹을 위해 타국으로 떠날 때는 반드시 따르는 이들이 있다. 『좌전·정공4년』: “군주가 행차할 때는 사, 경이 행차할 때는 려 뒤를 따른다.” 「빙례」에 따르면, 사신에는 상개上介 중개衆介 있다. 방문국에 도달하면, 국경에서 맹세()하고, 사관이 서를 낭독하며, 사마는 간책을 들고, 가인賈人이 옥을 깨끗하게 닦으며, 유사가 폐물을 진열한다. 그러므로 예방과 맹회의 사신에는 그를 따르는 많은 수행원들과 호위병이 있다. 춘추 시대에 어떤 때는 모든 수행원을 갖출 수 없었을 수도 있지만 화손은 그의 관속들로 중개와 유사들을 준비했다.

書曰司馬華孫: 화손의 관직으로 호칭하고, 직접 그의 이름을 쓰지 않았다.

貴之也: 주석 없음.

公與之宴. 辭曰: 君之先臣得罪於宋殤公名在諸侯之策: 은 화독이고, 화손의 증조부이다. 환공 2, 송 상공을 시해했다. 『춘추·환공2년』: “송나라의 화독이 그의 군주 여이를 시해했다.” 노나라의 역사서가 이와 같다면 다른 나라의 역사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그의 이름이 각 나라의 간책에 적혀 있다”고 말한 것이다. 책은 간책의 의미이다.

臣承其祀其敢辱君?: 는 기의 용법이다. 어찌 감히 군주를 욕보일 수 있겠는가라는 의미이다. 두예: “화우 스스로 죄인의 후손으로 자처했기 때문에 노나라 군주와 함께 연회를 하여 욕보일 수 없다고 말했다.

請承命於亞旅.: 아려亞旅 관직의 이름. 두예: “아려는 상대부이다.『상서·목서』에 “사도·사마·사공·아려·사씨”등의 관직명이 보이는데, 아려는 삼사의 뒤, 사씨의 앞에 위치한다. 『좌전·성공2년』: 성공은 세 장수에게 선로삼명先路三命의 복을 하사했고, 사마司馬·사공司空·여수輿帥·후정候正·아려亞旅에게는 모두 일명의 복을 하사했다.” 여기서 아려는 여수와 후정의 뒤에 자리한다. 공영달의 『소』: “화손은 군주가 베푸는 연회는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대부가 주최하는 연회를 요청한 것이다.

人以爲敏: 노인이란 노나라 사람을 말한다. 공영달은 『소』는 “아둔한 사람(魯鈍之人)”이라고 풀이하는데 옳지 않다. 상세한 설명은 초순의 『보소』와 계복의 『찰복』을 참조하라.


👉 아름다운 여인 - 화보독과 공자의 먼 할머니  

댓글